▣ 동기유발
왜 사람들은 저마다 독특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일까?'동기'와'동기유발'은 오랜기간관에 걸쳐 행동연구가들에게는 집중 연구대상이었다. 왜냐하면 행동의 동인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만 있다면 개인의 행동을 좀 더 잘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의 모든 행동도 동기유발에서 비롯된다. 즉, 제품이나 광고를 보고, 그것을 생각하고, 그것에 대해 말하고, 쇼핑하고, 구매하고, 실제 제품을 사용하고, 수리하고, 처분하는 등의 모든 소비자행동은 저마다 어떤 동기에 근원을두고 있다.
■ 소비자 욕구와 동기
- 소비자 행동은 다양하다.
- 그런 가운데 유사성과 일관성이 있다.→인간행동의 이해가능성
- 같은 종류의 동기와 욕구를 갖더라도 표현방법이 다르다.
- 동기에 대한 이해는 인간행동의 이해와 예측에 도움을 준다.
- 소비자행동의 이해는 마케팅의 본질이며 성공요소이다.
- 소비자 욕구와 동기에 대한 이해를 통해 소비자 욕구를 경쟁자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고 구체적으로 만족시키는 것: 성공요소
- 기본적인 욕구, 동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소비자 행동이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는 이유를 설명함.
◆ 욕구
기본적 욕구(생리발생적 욕구)와 후천적 욕구(2차적 욕구, 정신발생적)
예: 비바람 피할 집 거주지(기본적 욕구), 주택의 형태 결정(2차적 욕구)
행동을 유발하는 충동적인 힘


- 행동은 목표지향적이다.
- Product-specific goals: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특정한 상표의 제품
● 목표의 선택
개인의 경험, 신체적 능력, 문화적 규범과 가치, 목표에 대한 사회적 적합성과 신체적 접근성에 따라 달라짐. 그 외에도 자아인식, 자아이미지도 영향을 미침
욕구가 없으면 목표도 없다. 자존의 욕구 등과 같이 욕구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할 수는 있으나 욕구는 존재하며, 잠재의식적으로라도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행동(부동산의 구입, 선거에 출마)을 한다.
- 이끌리는 충동적 힘(driving force): 필요(본원적욕구), 욕구(구체적욕구), 욕망
- 회피하고 싶은 충동적 힘: 두려움, 회피
◆ 합리적 동기와 감정적 동기
● rational motive
대안중에서 가장 효용이 큰 것 선택하는 경제적 인간관, object criteria(가격, 중량 등)를 기준으로 목표(제품)를 선택함
개성, 자존심, 두려움, 애정, 지위 등에 의해 목표 선택함
비합리적인 것도 소비자 개인의 정신세계에서는 완벽하게 합리적일 수 있음.
자신이 합리적으로 생각하더라도 타인이 그렇게 보지 않는 경우 행동하지 않음.
(합리성은 상대적, 주관적임)
■ 동기의 동적인 면
◆ 욕구의 목표의 지속적 변화
- needs와 goal은 육체적 조건, 환경, 타인과의 관계, 경험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를 한다(바뀐다).
- 목표는 달성되면 다른 새로운 목표를 찾는다.
●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인간행동이 멈추지 않는 이유
① 기존의 욕구는 완전히 만족되지 않는다. 만족과 유지를 위해 행동을 지속함
예: 권력욕구, 의사결정권한의 유지,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행동함
② 기존 욕구가 만족되면 새롭고 고차원적인 욕구가 유발됨
생리적 요구->안전의 욕구->사회적 욕구->존경의 욕구->자아실현의 욕구
③ 목표의 달성여부에 따라 목표를 변화시킨다.
- 목표를 달성여부가 행동의 지속성과 목표수준을 변화시킨다.
= 목표달성: 행동지속, 보다 높은 목표 설정: 사진->보다 정교한 사진
= 목표실패: 수준을 낮추거나 행동변화(재구매 회피)
◆ 대체 목표
특정 목표를 이룰 수 없을 때, 최초목표 만큼 만족스럽지는 못하지만 최초의 목표의 미달성으로 야기되는 불쾌한 긴장을 줄여줌. 좌절에 대한 방어적 행동
◆ 좌절
● 목표 달성의 실패로 나타나는 결과
☞ 방어기제: 좌절에 적응할 수 없는 사람은 자아이미지 보호와 자존심의 방어를 위해 좌절상황을 재정의 함. 방어기제로는 공격, 합리화, 퇴행, 철수, 투사, 환상, 동일시, 억압 등이 있음
그러나 여러 가지 욕구 중에서 보다 지배적인 욕구가 존재함
욕구가 다른 사람도 같은 목표 선택, 같은 욕구를 가진 사람도 다른 목표 추구하기도하며 다른 방법으로 충족
◆ 동기의 각성(arousal, 환기)
잠재된 요구가 특정 시점과 상황에서 활성화됨.
● 생리적 각성(환기): 오한->히터, 두꺼운 옷
■ 욕구의 유형과 시스템
욕구체계의 다양성: 생리적 욕구는 학자들간에 일치(일관)하나 심리적 욕구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다
◆ 매슬로우의 욕구계층(Hierarchy of needs)
인간욕구를 5단계로 계층화
저차원(생리적) 욕구가 충족되며 보다 고차원 (심리적) 욕구가 활성화됨.
불만족(욕구 불충족)이 행동을 동기화함.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사회적 욕구, 존경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 욕구계층이론의 평가
문제점:욕구충족 정도와 욕구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움.
마케팅에의 이용: 특정세분시장의 공유된 욕구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 계획.
경쟁제품이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욕구를 찾아서 이를 이용함.
(승용차: 안전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 인간의 3가지 기본적인 욕구
● 권력(power)
환경에 대한 통제, 타인에 대해 권력행사->자존심과 관련, 환경통제->안전의 욕구와도 관련
사회적 욕구와 유사, 타인과 함께
존경 및 자아실현의 욕구: 혁신제품, DIY제품, 골동품, 투기
MBA와 공사생들: 성취욕구가 높음
'소비자행동 및 광고 > 소비자행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적 영향요인 ▶ 소비자개성 (0) | 2016.11.18 |
---|---|
개인적 영향요인 ▶ 학습 (0) | 2016.11.18 |
소비자 구매행동 (0) | 2016.11.18 |
의사결정 ▶ 대안평가 (0) | 2016.11.18 |
의사결정 ▶ 정보탐색과정 (0) | 2016.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