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1. 18. 16:19

▣ 정보처리 행동모델

■ 다섯단계의 활동과정

 

◆ 1단계 (노출단계)
인간의 오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활성화되어 자극(또는 정보)에 접근하는 단계
◆ 2단계 (주의단계)
접근된 자극(또는 정보)에 정보처리능력을 할당하는 단계
◆ 3단계 (이해/지각단계)
정보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단계
◆ 4단계 (동의/수용단계)
새로운 정보에 의해 설득되는 단계. 즉, 새로운 신념이나 태도가 형성되거나 기존의 신념이나 태도가 수정 또는 변경되는 단계
◆ 5단계 (보유단계)
새로운 정보를 기억으로 저장하는 단계

 

■ 정보처리 행동의 일반적 특징
첫째, 소비자의 정보처리 능력은 무한하지 않고 제한적이다.
따라서 많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없으며, 그 결과 선별적 처리를 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최적(optimum)의 처리결과를 산출하려 하지 않으며, 적정한 수준에서 처리를 종결시키는 경향이 있다.
둘째, 정보의 처리는 전적으로 소비자의 마음속에서 이루어 지며, 그의 사고방식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정보처리의 전과정에 걸쳐서 소비자의 사고능력에 영향을 주는'기억'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를테면 며칠 수 있을 가족구성원의 생일을 기억하고 있는 소비자는 그렇지 않은 소비자에 비해 선물용품으로 적당한 상품이 광고될 때 좀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그 광고가 제공하는 정보의 처리에 보다 적극성을 보이게 될 것이다.
셋째, 소비자의 정보처리느 다분히 상황중심적이다.
상황에 따라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달라지고, 처리과정이 상이해 진다. 정보처리의 기본목적이 외적 세계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있기 때문에 정보의 처리과정은 상황에 따라 상당히 신축성이 있고, 상황적 특성을 갖는다.

'소비자행동 및 광고 > 소비자행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 ▶ 주의(attention)  (0) 2016.11.18
정보처리 ▶ 노출단계  (0) 2016.11.18
소비자 행동 모델  (0) 2016.11.18
마케팅과 소비자행동  (0) 2016.11.18
소비자행동의 결정요인  (0) 2016.11.18
Posted by 윤응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