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 MAP시스템에 의한 광고계획
구상계획
step 01 겨냥하고 있는 소비자의 전체상의 명확화
step 02 시장대책의 기본적 방향의 결정
step 03
표적 시장의 결정
step 04 구상계획의 대체안 작성
step 05 구상계획의 결정
과제계획
step 06 촉진믹스의 대체안의 작성
step 07 촉진믹스의 효율성기준에 의한 서열성
step 08 촉진믹스의 결정
step 09 광고계획과 그 外의 촉진계획과의 계연성
step 10 광고의 지방별 목표결정
step 11 광고의 전달내용결정
실시계획
step 12 광고표현테마의 결정
step 13 광고제품의 제작
step 14 광고매체의 지방별 목표(치)설정
step 15 광고단위와 한정
step 16 개별매체와 그 광고단위의 지방별한정
step 17 최적매체믹스의 결정
step 18 광고실시계획의 작성
평가계획
step 19광고효과의 평가
◆ step 01-03
기업을 짜고 있는 환경적 요인으로서 경제적, 문화적, 법률적, 기술적 요인과 소비자활동 동향 등을 고려하면서 시장분석과 시장조사 등에 의해 마케팅목표를 책정한다. 이와 같이 판매의 대상이 되는 표적시장을 결정한다.
표적시장이 정하여지면 그것에 마케팅활동의 전개를 위해서 마케팅 믹스가 입안되어진다. 안은 적어도 2 또는 3가지 종류를 준비해 놓는다.
마케팅 믹스의 한요소로서 촉진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촉진믹스가 일정한 예산의 테두리 안에서 세워진다. 이 때, 시기적, 지역적인 비중도 부여된다.
먼저 결정되어진 촉진믹스에서 광고목표가 파생적으로 결정되어진다. 이 목표는 수량적으로 표현되어져 그 결과가 광고효과로서 측정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커뮤니케이션, 전달유형(CSP)이라 부르고 소비자심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것을 지명도(awareness), 이해도(comprehensin), 의도 (intention)라고 전통에서는 표현하고 있다. 광고를 하는 것에 의해서 이러한 심리상태을 어느 정도 변화 시키지만 이러한 형태로 광고목표가 세워지고 광고목표가 어느정도 달성되는가 라고 하는 형태로 광고효과가 측정된다.
전달해야 할 메시지가 결정되면 이것을 시각화하기 위해서 표현컨셉트(concept), 표현테마가 결정되고 이것에 기초해서 광고가 제작된다.
제작된 광고작품에 의해서 광고목표를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느 종류의 매체를 어느 정도 사용하면 좋은가의 결정이 광고지역별, 시기별로 내려져야 한다. 이것이 미디어 믹스이다.
최적한 매체 믹스에 관해서 광고의 지역과 시기, 개별매체와 그 광고단위를 명확히 한 광고출고계획이 작성된다.
이들의 광고계획이 실시된 경우의 효과를 실제로 조사하는 일에 의해서 광고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어지는 가를 본다. 계획과 실제가 차이가 발생함녀 그 원인을 찾기도 하고 필요하면 계획을 변경하기도 하고 금후의 광고활동자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 전통의 광고관리시스템
'소비자행동 및 광고 > 광고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계획의 내용 ▶ 광고효과의 측정 (0) | 2016.11.21 |
---|---|
광고계획의 내용 ▶ 광고와 다른 마케팅 노력의 조정 (0) | 2016.11.21 |
광고계획의 내용 ▶ 광고문안의 작성 (0) | 2016.11.21 |
광고계획의 내용 ▶ 광고매체의 선정 (0) | 2016.11.21 |
광고계획의 내용 ▶ 광고예산과 관리 (0) | 2016.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