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기획/표준원가'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16.11.15 표준원가 차이분석
  2. 2016.11.15 표준원가 회계처리방법
  3. 2016.11.15 원가표준의 설정 ▶ 작업시간설정
  4. 2016.11.15 원가표준의 설정 ▶ 원가표준설정
  5. 2016.11.15 표준원가의 의의
2016. 11. 15. 16:47

▣ 표준원가 차이분석

 

■ 재료비 차이

 

◆ 차이분석
재료비 차이는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Actual Input (AP*AQ)→표준가격*투입량 (SP*AQ)→Standard Output(SP*SQ)

 

● Actual Input (AP*AQ)→표준가격*투입량 (SP*AQ) ----- 가격차이
● 표준가격*투입량 (SP*AQ)→Standard Output(SP*SQ) -- 수량차이

 

◆ 차이원인
구분
관리가능
관리불능
가격차이
●거래처의 잘못된 선정 ●급박한 구매
●구매단가의 시세변동
수량차이
●태업●정비불량
●수량표준의 개정

 

◆ 예제
표준원가(재료비)3㎏ * @4 = 12, 실제생산량 1,000개
재료사용량 2.850㎏*24.1=11,685원
AP*AQ=4.1*2,850=11,685원 SP*AQ=4*2,850=11,400원 SP*SQ=4*1,000*3=12,000원
가격차이 285(불리), 수량차이 600(유리), 총차이 315(유리)

 

■ 노무비차이

 

◆ 차이분석
노무비 차이는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Actual Input (AP*AQ)→표준가격*투입량 (SP*AQ)→Standard Output(SP*SQ)

 

● Actual Input (AP*AQ)→표준가격*투입량 (SP*AQ) ----- 임율차이
● 표준가격*투입량 (SP*AQ)→Standard Output(SP*SQ) -- 시간차이

 

◆ 차이원인
구분
관리가능
관리불능
임율차이
●고임률 근로자
●전반적인 임금상승
시간차이
●태만●노력부족
●작업방법의 변경

 

◆ 예제
표준원가(노무비) 2H*@4=8, 실제생산량 1,000개,
직접노동시간 2,200시간, 총임금 8,360원.
AP*AQ=8,360원 SP*AQ=2,200H@4=8,800원 SP*SQ=@4*1,000*2H=8,000원
임률차이 440(유리), 시간차이 800(불리), 총차이 360(불리)

 

■ 제조간접비 차이

 

◆ 차이분석
실제액→실제작업시간하의예산→실제생산량에대한예산→실제작업시간하예산

 

● 실제액→실제작업시간하의예산 ---------------------- 소비차이
● 실제작업시간하의예산→실제생산량에대한예산 -------- 능률차이
● 실제생산량에대한예산→실제작업시간하예산 ---------- 조업도차이

 

▶ 실제작업시간하예산 = 당초 예산상의 고정비 + 실제작업시간 * 시간당 변동비

▶ 실제생산량에 대한 예산 = 당초예산상의 고정비 + 생산량 * 개당변동비
▶ 실제생산량에 대한 표준 = 생산량 * 단위당 표준원가

 

◆ 차이원인
구분
관리가능
관리불능
소비차이
●예산상의 낭비●외부의 단가변동
능률차이
●태만●작업미숙.
조업도차이
●수선불량에 의한고장
●기계관리 불량●생산계획 오류●수요감소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5. 16:43
▣ 표준원가 회계처리방법

 

■ 분기법
분기법이란 기말에 [실제생산량 * 표준원가]로 표준원가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분기법은 기말에 계산되기 때문에 원가차이분석이 지연된다.
분기법은 생산공정이 단순하고, 대량생산시 주로 사용한다.

 

■ 단기법
단기법이란 원자재의 투입시점에 실제투입액과 표준투입액을 비교하여 차액을 계산하기 때문에 표준원가차액의 파악과 분석을 신속히 행하는 장점은 있으나 업무량이 크게 증가된다.
단기법은 조별생산이나 주문생산에 주로 사용한다

 

■ 회계처리

 

● 재료구입시
▶ 분기법
(차)재료XX
(대)외상매입금XX
▶ 단기법
(차)재료XX
(대)외상매입금XX
(차)재료구입가격차이XX

 

● 재료투입시
▶ 분기법
(차)재료비XX(대)재료XX※
☞ 재료비는 실제원가임
▶ 단기법
(차)재료비XX(대)재료XX
(차)재료수량차이XX

 

● 노무비지급시
▶ 분기법
(차)노무비XX(대)현금XX
※노무비는 실제임
▶ 단기법
(차)노무비XX(대)현금
(차)노무비차이XX

 

● 제조간접비지급시
▶ 분기법
(차)제조간접비X(대)현금XX
▶ 단기법
(차)제조간접비X(대)현금XX

 

● 제조계정으로대체
▶ 분기법
(차)제조XX(대)재료비XX
(대)노무비XX
(대)경 비 XX  
▶ 단기법
(차)제조XX(대)재료비XX
(대)노무비XX
(대)제조간접비X

 

● 제품으로대체시
▶ 분기법
(차)제품 XX (대)제조XX
▶ 단기법
(차)제품 XX (대)제조XX

 

'경영기획 > 표준원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원가 차이분석  (0) 2016.11.15
원가표준의 설정 ▶ 작업시간설정  (0) 2016.11.15
원가표준의 설정 ▶ 원가표준설정  (0) 2016.11.15
표준원가의 의의  (0) 2016.11.15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5. 16:41
■ 작업시간 설정

 

◆ 물량표준(작업시간)의 설정
물량표준, 즉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에는 과거실적자료에 의한 방법과 이론적인 방법이 있다

 

◆ 과거실적자료에 의한 방법

 

● 최소자승법
● 그래프법

 

◆ 이론적인 방법

 

● Stop Watch법
Stop Watch법이란 일하는 작업자를 직접 보고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편하나 가장 큰 문제점이 작업자들의 거부감이다. 소심한 작업자의 경우는 평상시보다 빠르게 작업하며 반면에 반항적인 작업자는 오히려 평상시보다는 느리게 작업한다

 

▶ 유의점
작업이 있을 때 신속하게 측정해야 한다
작은 시간단위로 측정해야 한다
▶ 절 차
작업표준화→작업자선정→작업의 요소분할→작업요소별 실제시간 측정→표준시간 설정
여기서 실제시간측정에서 표준시간 설정까지를 좀 더 세밀하게 표시하면
대상작업관측→관측된 실제시간 ---- ---- 10회-20회 관측
관측된 실제시간→정상시간 ------------- Rating(숙련도,노력,,작업조건,작업안정도)
정상시간→표준시간-------------------- 여유율

 

○ Rating 실무적용율
구분
숙련도
노력
작업조건
작업안정도
최우수
+15%
+12%
+6%
+4%
보통
ΘΘΘΘ열등
Δ20%
Δ12%
Δ6%
Δ4%
관측된 실제시간의 평균치에 상기의 Rating을 가감하면 정상시간이 산정된다. 즉, 관측시간의 평균치가 제품 100개를 생산하는데 1,000h라고 하면 최우수작업자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정상시간은 15%가산하여 1,150h가산이 되며, 작업조건이 최선이었다면 다시 6%를 가산하여 1,219h시간이 되는 것이다

 

○ 여유율
▷ 작업여유 : 3-5%. 기름치고, 공구교환하며,재료결함시 교체하는 시기
▷ 생리여유 : 3-5%. 대소변,물마시기 등
▷ 피로여유 : 경노동의 경우는 5%, 중노동의 경우는 20%정도를 가산한다
▷ 직장여유 : 3-5%.기계가 고장나거나 재료가 오는 것을 기다리는 시간 등
☞ [표준시간 = 정상시간 * (1+여유율)]로 산정하는데 통상 여유율은 10-20%정도로 조정한다

 

● PTS법(Predetermined Time Standard method)
PTS법이란 작업을 관측하지 않고 작업방법만 알면 객관적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 절차
작업방법의 경제적 방법 결정→기본요소동작분해→PTS적용하여 시간산정→시간집계
PTS법의 경우는 작업방법만 알면 표준시간 산정이 가능하고, rating과 여유율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 MODAPTS

 

● 개념
MODAPTS란 분해동작을 MOD로 계산하여 작업표준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손가락 동작을 IMOD로 정의하고, IMOD는 0.129초로 환산한다.
(숙련자의 경우는 IMOD=0.1초, 피로여유(10.75%)가산시는 IMOD=0.129*1.1075=0.143초)

 

● MODAPTS체계와 CODE

 

▶ 팔의 기본동작 

 

 ○ 이동동작
ㄱ. 이동동작 : M1(손가락), M2(손),M3(앞팔),M4(윗팔),M5(어깨)
ㄴ. 왕복·반사동작 : (M½,1,2,3)
○ 종국동작
ㄱ. 보면서 잡는 동작 : G0(대고있다.),G1(잡고있다),G2(어려운쥐기)
ㄴ. 놓는동작 : P0(쉽게놓다),P2(보면서1회위치수정),P5(보면서2회수정,복잡)

 

▶ 다리동작 : F3(폐달밟는동작), W5(보행)

▶ 결합동작
L1(중량요소), E2(눈), R2(고쳐잡기), D3(판단), A4(압력), C4(회전), B17(구부렸다일어나는동작),S30(앉았다 일어나는 동작)

 

● 모답스예
예제 : 책상 위의 마이크를 잡아서 옮긴다.
팔을 움직여(M4) 마이크를 잡고(G3) 윗팔을 써서(M4) 보면서 놓는다.
모두 합산하면 4+3+4+2 = 13MOD임.
13MOD*0.129초 = 1.677초가 표준시간임.

 

'경영기획 > 표준원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원가 차이분석  (0) 2016.11.15
표준원가 회계처리방법  (0) 2016.11.15
원가표준의 설정 ▶ 원가표준설정  (0) 2016.11.15
표준원가의 의의  (0) 2016.11.15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5. 16:36
■ 원가표준설정

 

◆ 원가표준설정의 수준
원가표준을 설정하는 경우 크게 3가지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 가격수준 : 가격수준이라 함은 재료비 미 인건비 가격을 의미한다
▶ 능률수준 : 능률수준이란 숙련자인가 아니면 초보자인가 하는 차이를 의미한다
▶ 조업수준 : 조업수준이란 1년에 몇 개 정도 생산한다는 생산량을 의미한다

 

● 가격수준의 결정

 

▷ 이상가격수준 : 가장 이상적인 가격수준이다
▷ 정상가격수준 : 과거 수년간(통상2-3년)의 평균능률수준을 의미한다
▷ 당좌가격수준 : 현실적인 표준가격으로 차기의 예정가격을 의미한다

 

실무상 정상가격수준을 사용하기도 하며, 당좌가격수준을 사용하기도 한다. 어느 정도 표준원가계산제도가 정착된 회사는 당좌가격수준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 능률수준의 결정

 

▷ 이상능률수준 : 가장 이상적인 능률수준이다
▷ 정상능률수준 : 과거 수년각(통상2-3년)의 평균능률수준을 의미한다
▷ 가능능률수준 : 차기의 예상능률수준을 의미한다

 

실무상 가능능률수준을 주로 사용하며, 정상능률수준은 참고 정도이다. 능률수준은 개당 생산시간의 설정을 의미한다

 

● 조업수준

 

▷ 이론생산능력수준
이론적인 생산능력으로 실제생산능력을 산정하기 위한 참고사항이다.
▷ 실제생산능력수준
실무상 [생산 Capa]라고 하는 경우 실제생산능력수준을 의미한다.
▷ 정상조업수준
과거 수젼간 평균조업수준을 의미하낟. 여기서 조업수준이란 주로 생산량을 의미한다.
▷ 기대조업수준
차기의 예상조업수준을 의미하며 실무상 표준원가 산저어시의 조업수준을 의미한다

 

◆ 원가표준의 설정주기
원가표준을 설정하는 주기는 통상1년이 원칙이지만 최근에는 생산주긴의 단축등으로 6개월마다 설정을 하는 회사도 많아지고 있다
표준원가의 설정은 표준원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여기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무상 위원장은 부사장이 일반적이고, 위원은 생산관리부장, 경리부장, 구매부장, 공무부장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 단위당 표준재료비의 설정

 

● 표준가격의 설정
표준재료비 설정을 위한 표준가격은 구매부가 작성하며, 표준가격 설정시 매입부대 비용도 포함해야 한다.

 

● 표준수량의 결정
재료 종류별 표준수량은 생산관리부가 작성하며 작업폐물, 공손, 감손을 감안해야 한다.

 

● 제품의 표준원가카드
재료코드
표준소비량
부문
합계

 

◆ 단위당 직접노무비의 설정

 

● 표준작업시간
표준작업시간은 실질 작업시간에 여유시간을 가산하여 생산관리부가 작성한다. 여유시간이란 생리여유, 피로여유, 작업여유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준비시간, 대기신간, 기계고장시간까지 고려하여 표준작업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는 보통 정도 숙련된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 표준임율
표준임률은 경리나 원가관리부에서 인건비인상 정도를 고려하여 작성한다

 

◆ 제조간접비표준의 설정
제조간접비의 경우 물량*단위로 산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대부분 제조간접비는 준고정비 또는 고정비의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조간접비를 생산량 구간별로 적용하는 방법과 고정예산을 산정하고 그 예산을 고정시켜서 단위당 제조간접비를 산정하는 방법이 있다
제조간접비 배부율 = 제조간접비예산 / 작업시간(또는 생산량)
작업시간은 사람작업시간을 주로 사용하며, 사람작업시간은 다시 생산량으로 전환 될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 대신에 생산량을 사용하기도 한다

 

'경영기획 > 표준원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원가 차이분석  (0) 2016.11.15
표준원가 회계처리방법  (0) 2016.11.15
원가표준의 설정 ▶ 작업시간설정  (0) 2016.11.15
표준원가의 의의  (0) 2016.11.15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5. 16:34

▣ 표준원가의 의의

 

■ 표준원가 개념
표준원가란 제품생산시 예상되는 원가를 사전에 결정하여 놓은 것으로, 표준원가의 계산이란 개당 표준원가에 생산량을 곱하여 산정하는 것이다

 

◆ 실제원가계산제도의 문제점
실제원가계산제도가 원가관리에 유용한 원가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발된 것이 표준원가계산제도이다.

 

● 실제원가의 변동성

 

▶ 원자재의 시장가격이 항상 변하기 때문에 실제원가는 항상 변동한다

실제원가계산시에는 고정비를 생산량으로 나누어서 개당 실제원가에 개당고정비가 포함된다
이 경우 생산량이 많으면 1개당 고정비가 낮아지나, 생산량이 적으면 1개당 고정비가 높아진다. 따라서 생산량에 따라서 개당원가의 변동이 심하다

 

▶ 작업능률에 따라서 원가의 변동이 생긴다
제품1개 생산시 재료가 10개 소요되기도 하고 11개가 소요되기도 하며, 또 1시간당 제품을 50개 만들기도 하고 55개도 만들기도 하듯이 작업능률에 따라서 원가가 변동한다

 

● 실제원가의 반복·단계별 계산
실제원가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계산이 지연되는 결점이 있다

 

▶ 요소별 원가계산
요소별 원가계산이란 계정과목별로 원가를 집계하는 것이다. 원가의 3요소라고 하면 재료비,노무비,경비를 의미하며, 다시 경비는 감가상각비, 보험료, 세금과 공과등으로 세분된다.

 

▶ 공통비의 배부
공통비의 배부는 건물 감가상각비 등과 같이 제조부서에 대한 전체관련비용을 각 부서(부문)로 배부하는 것이다

 

▶ 보조부문비의 배부
수선부문, 공무부문 등과 같은 제조보조부문비는 제조부문으로 배부한다. 이 경우 제조부문이 1개이면 배부할 필요가 없으나 여러부문이면 배부해야 한다

 

▶ 부문별 원가계산
제조부문비가 모두 집계되면 제조부문별로 원가가 집계된 것이다

 

▶ 재공품 평가
재공품이란 가공중인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조부문별로 집계된 원가를 생산제품과 가공중인 제품으로 나누는 절차이다

 

▶ 단위당 원가계산
생산된 제품의 원가가 계산되면 생산수량으로 나누어서 단위당 원가를 산정한다.
상기와 같이 실제원가는 반복적이고 단계별 계산이
위에서 본 바와 같이 과실제원가는 계산이 지연되는 결점이 있다.

 

◆ 표준원가계산제도의 탄생
실제원가계산제조의 결함을 극복하고자 탄생한 것이 표준원가계산제도이다. 먼저 표준을 과학적 조사에 의해 결정하고,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이를 산정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여 원가관리를 실시하는 제도이다
그리고 비통산방식을 채용하여 계산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것이 표준원가계산제도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실제원가계산제도를 고집하고 있으나,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는 이미 표준원가계산제도로 이관했으며, 원가계산제도라고 하면 표준원가계산제도이다

 

■ 표준원가계산제도의 목적

 

◆ 계획목적
표준원가는 예산편성시 제품 단위당 원가를 사전에 제공하기 때문에 예산편성시 유용한 기본정보를 제공한다
통상 표준원가는 1년에 1번정도 개정하는데 이러한 개정작업은 예산편성시 실시한다. 즉, 원단위설정예산 (Rate Fixing Budget)을 미리 편성하여 표준원단위를 산정한 후 이 기초자료를 가지고 성과예산(Perfomance Budget)을 편성하는 것이다.

 

◆ 제품원가계산 목적
제품1단위당 원가가 산정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량이 산정되거나, 판매량이 산정되면 즉시 원가를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원가산정이 가능하다

 

◆ 원가관리 목적
표준원가가 산정되고, 실제원가를 산정하여 실제원가와 표준원가의 차이를 구하여 차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때문에 원가관리의 유용한 도구이다
표준원가계산제도는 원가능율에 대한 현장책임자의 업적평가제도이다. 그리고 작업자 개개인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현장감독자에 대한 자극제도이다. 작업자 개개인보다는 현장감독자에 대한 자극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표준원가계산제도도 현장감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 제품 가격결정 목적
제품 단위당 표준원가가 사전에 설정되기 때문에 여기에 이윤(Margin)을 가산하여 제품의 판매가격을 산정하게 하여준다

 

■ 표준원가계산제도의 한계점
표준원가계산제도가 대단히 유용한 관리도구이지만 표준설정, 종업원의 인식 등의 한계가 있다.

 

◆ 표준설정의 적절성
표준설정이 너무 높은면 표준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표준 자체를 하나의 이상치로 생각하고 달성하고자 하는 욕구가 저하될 수 있다

 

◆ 종업원의 인식
표준원가제도는 종업원의 비능율에 대한 벌칙제도만 인식하고, 표준원가제도 자체를 거부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그러나 표준원가제도는 경영자나 종업원의 능률 측정 및 개선제도이다.

 

◆ 예외에 의한 관리
표준원가계산제도는 일반적으로 예외에 의한 관리방식을 취한다. 즉, 표준과 실제의 차이가±5%이상인 경우만 차이원인을 분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러한 경우 4%의 비능률이 있으면 이를 인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 표준원가의 유사개념

 

◆ 목적원가
목적원가는 견적목적의 원가계산, 외주하청 목적의 원가계산, 가격결정 목적의 원가계산 등 특정목적을 위하여 산정하는 원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표준원가를기초로 하여 목적원가를 산정한다

 

◆ 예정원가
예정원가란 사전에 가격을 추정하는 것으로 크게 2가지로 구분한다.
ⓐ 견적원가 : 실제원가의 개략적인 추정원가이다.
ⓑ 표준원가 : 과학적 조사에 의한 예정원가이다.
따라서 예정원가란 원가를 예측한 것으로 과학적인 방법이나 아니냐에 따라서 견적원가와 표준원가로 구분한다

 

◆ 예산원가
표준원가가 Unit의 개념이라면 예산원가는 Total의 개념이다. 즉, [생산량*표준원가=예산원가]인 것이다

 

◆ 기획원가
기획원가란 목표원가( Target Cost)라고도 하며, 이는 설계단계에서의 원가이다. 반면에 표준원가는 제도단계에서의 원가이다
Posted by 윤응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