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가표준설정
원가표준을 설정하는 경우 크게 3가지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원가표준을 설정하는 주기는 통상1년이 원칙이지만 최근에는 생산주긴의 단축등으로 6개월마다 설정을 하는 회사도 많아지고 있다
표준원가의 설정은 표준원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여기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무상 위원장은 부사장이 일반적이고, 위원은 생산관리부장, 경리부장, 구매부장, 공무부장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표준재료비 설정을 위한 표준가격은 구매부가 작성하며, 표준가격 설정시 매입부대 비용도 포함해야 한다.
재료 종류별 표준수량은 생산관리부가 작성하며 작업폐물, 공손, 감손을 감안해야 한다.
표준작업시간은 실질 작업시간에 여유시간을 가산하여 생산관리부가 작성한다. 여유시간이란 생리여유, 피로여유, 작업여유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준비시간, 대기신간, 기계고장시간까지 고려하여 표준작업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는 보통 정도 숙련된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표준임률은 경리나 원가관리부에서 인건비인상 정도를 고려하여 작성한다
제조간접비의 경우 물량*단위로 산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대부분 제조간접비는 준고정비 또는 고정비의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조간접비를 생산량 구간별로 적용하는 방법과 고정예산을 산정하고 그 예산을 고정시켜서 단위당 제조간접비를 산정하는 방법이 있다
제조간접비 배부율 = 제조간접비예산 / 작업시간(또는 생산량)
작업시간은 사람작업시간을 주로 사용하며, 사람작업시간은 다시 생산량으로 전환 될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 대신에 생산량을 사용하기도 한다
◆ 원가표준설정의 수준
원가표준을 설정하는 경우 크게 3가지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 가격수준 : 가격수준이라 함은 재료비 미 인건비 가격을 의미한다
▶ 능률수준 : 능률수준이란 숙련자인가 아니면 초보자인가 하는 차이를 의미한다
▶ 조업수준 : 조업수준이란 1년에 몇 개 정도 생산한다는 생산량을 의미한다
● 가격수준의 결정
▷ 이상가격수준 : 가장 이상적인 가격수준이다
▷ 정상가격수준 : 과거 수년간(통상2-3년)의 평균능률수준을 의미한다
▷ 당좌가격수준 : 현실적인 표준가격으로 차기의 예정가격을 의미한다
실무상 정상가격수준을 사용하기도 하며, 당좌가격수준을 사용하기도 한다. 어느 정도 표준원가계산제도가 정착된 회사는 당좌가격수준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 능률수준의 결정
▷ 이상능률수준 : 가장 이상적인 능률수준이다
▷ 정상능률수준 : 과거 수년각(통상2-3년)의 평균능률수준을 의미한다
▷ 가능능률수준 : 차기의 예상능률수준을 의미한다
실무상 가능능률수준을 주로 사용하며, 정상능률수준은 참고 정도이다. 능률수준은 개당 생산시간의 설정을 의미한다
● 조업수준
▷ 이론생산능력수준
이론적인 생산능력으로 실제생산능력을 산정하기 위한 참고사항이다.
▷ 실제생산능력수준
실무상 [생산 Capa]라고 하는 경우 실제생산능력수준을 의미한다.
▷ 정상조업수준
과거 수젼간 평균조업수준을 의미하낟. 여기서 조업수준이란 주로 생산량을 의미한다.
▷ 기대조업수준
차기의 예상조업수준을 의미하며 실무상 표준원가 산저어시의 조업수준을 의미한다
차기의 예상조업수준을 의미하며 실무상 표준원가 산저어시의 조업수준을 의미한다
◆ 원가표준의 설정주기
원가표준을 설정하는 주기는 통상1년이 원칙이지만 최근에는 생산주긴의 단축등으로 6개월마다 설정을 하는 회사도 많아지고 있다
표준원가의 설정은 표준원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여기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무상 위원장은 부사장이 일반적이고, 위원은 생산관리부장, 경리부장, 구매부장, 공무부장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 단위당 표준재료비의 설정
● 표준가격의 설정
표준재료비 설정을 위한 표준가격은 구매부가 작성하며, 표준가격 설정시 매입부대 비용도 포함해야 한다.
● 표준수량의 결정
재료 종류별 표준수량은 생산관리부가 작성하며 작업폐물, 공손, 감손을 감안해야 한다.
● 제품의 표준원가카드
재료코드
표준소비량
부문
합계
◆ 단위당 직접노무비의 설정
● 표준작업시간
표준작업시간은 실질 작업시간에 여유시간을 가산하여 생산관리부가 작성한다. 여유시간이란 생리여유, 피로여유, 작업여유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준비시간, 대기신간, 기계고장시간까지 고려하여 표준작업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는 보통 정도 숙련된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 표준임율
표준임률은 경리나 원가관리부에서 인건비인상 정도를 고려하여 작성한다
◆ 제조간접비표준의 설정
제조간접비의 경우 물량*단위로 산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대부분 제조간접비는 준고정비 또는 고정비의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조간접비를 생산량 구간별로 적용하는 방법과 고정예산을 산정하고 그 예산을 고정시켜서 단위당 제조간접비를 산정하는 방법이 있다
제조간접비 배부율 = 제조간접비예산 / 작업시간(또는 생산량)
작업시간은 사람작업시간을 주로 사용하며, 사람작업시간은 다시 생산량으로 전환 될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 대신에 생산량을 사용하기도 한다
'경영기획 > 표준원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원가 차이분석 (0) | 2016.11.15 |
---|---|
표준원가 회계처리방법 (0) | 2016.11.15 |
원가표준의 설정 ▶ 작업시간설정 (0) | 2016.11.15 |
표준원가의 의의 (0) | 2016.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