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용예산
비용의 성격은 과학적 비용과 판단적 비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과학적 비용이란 주로 생산부문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그 비용의 사용으로 인한 성과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고 따라서 한 단위의 성과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을 과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과학적으로 계산된 비용을 일반적으로 표준원가라 부른다. 이러한 표준원가에 의한 예산을 과학적 비용예산(Engineered Cost Budget)이라 하며 이러한 예산의 특징은 첫째, 해당 책임단위의 효율성을 측정 평가하기 위한 것이고, 둘째 해당 책임경영자는 예산달성에 대하여 직접적인 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즉, 단위당 표준원가 실제원가와의 차이에 대하여 일차적으로 책임을 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판단적 비용예산은 첫째, 해당 책임단위의 효율성 또는 비효율성을 측정 평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둘째, 해당 책임경영자는 승인된 예산 이상의 비용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책임을 지며 그 비용 사용의 결과 얻어지는 성과는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성과에 대한 표준원가는 계산될 수도 없고 또한 이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않게 되는 것이다. 과학적 비용예산은 주로 생산부문에서 세워지게 되며 판단적 비용예산은 주로 인사부문, 판매촉진부문, 연구개발부문 등에서 세워지게 된다
비용예산을 작성하는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변동예산의 방법이다. 변동예산의 작성은 우선 비용의 성격을 생산수준의 변동에 따라 직접적으로 변동하는 비용을 변동비로 분류하고 생산수준의 변동이 일정한 폭 안에서 일어나는 한, 비용이 생산수준과 관계없이 일정한 비용을 고정비로 분류하여 예산을 짜는 방법을 말한다. 변동예산은 생산수준이 변동함에 따라 각각의 예산을 따로 짜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비용을 일괄적으로 변동비와 고정비로 나눈다는 점과 변동예산의 기본전제가 되어 있는 적절한 생산수준의 범위를 어떻게 결정하느냐의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변동예산의 형태는 Y = a + bx (Y:예상되는 비용수준, a:고정비, b:변동비율, x:생산수준)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고정비와 변동비율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과학적 측정법, 최저·최고수준연결법(이 방법은 최저 생산수준일 대의 예산액과 최고 생산수준일때의 예산액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최저 생산수준과 최고 생산수준의 고정비와 변동비율을 구하는 방법이다.) 및 상관관계법 등이 있으나 각 기업의 특수한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 수익예산
판매부분과 같이 수익 책임단위로 분류되는 책임단위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예산을 편성하게 된다. 그 하나는 판단적 비용예산이고 다른 하나는 수익예산인 것이다. 수익예산은 예측 판매수량에다 예측판매가격을 곱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그의 산출방식은 간단하지만 예산편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예산제도가 얼마나 성공적인 경영통제의 수단이 되는가는 바로 수익예산이 얼마나 정확하게 편성되어지느냐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요한 수익예산은 다른 어떤 예산보다도 가장 큰 불확실성위에 세워지는 것이다. 물론 기업이 처한 환경에 따라 수익예산을 확실한 판매예측의 바탕위에서 세울 수 있는 경우도 있겠으나 수익예산이 근본적으로 불확실성 위에서 세워진다는 것은 수익예산의 기초가 되는 판매예측에는 판매부문 책임이나 국가의 경제동향과 경쟁사회의 판매정책은 판매부문 책임자가 어쩔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판매업적에 대하여 판매부문 책임자가 전혀 통제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효과적인 광고활동, 좋은 서비스 및 훈련되 세일즈맨의 활동은 판매량의 증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며 이에 대하여는 판매부문 책임자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수익예산의 특징으로는 첫째, 마케팅활동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즉, 수익예산을 달성하지 못했다는 것은 최고경영층이 기대했던 판매량을 달성하지 못했거나 판매가격을 기대했던 것만큼 받지 못했기 때문인 것이다. 둘째로 수익예산은 그 부문 책임자가 비용예산의 경우와는 달리 예산된 목표를 달성하는데 보다 덜 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 이익예산
이익 책임단위(Profit Center), 즉 독립채산제를채택하는 사업부문에서는 그 부문에서 발생하는 수익 및 비용에 대하여 모두 책임을 지므로 이익예산(Profit Budget)을 세우게 된다. 이익예산은 종합예산(Master Budger)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독립채산제에 의한 사업부문뿐만 아니라 기능적 조직(Functional Organization)형태를 취하는 기업에서도 각 부문예산을 집합하여 종합예산, 즉 이익예산을 세우게 되기 때문이다
이익예산의 주요한 기능으로는 기업전체의 또는 한 사업부문 전체의 활동들을 계획하고 조정하는 수단이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비록 최고경영자가 각 부문예산, 즉 비용예산이나 수익예산은 각각 심사하여 승인하였다 하더라도 이러한 각 부문예산은 종합하여 이익예산을 작성하여 보면 과연 이익예산에 나타난 예정이익이 최고경영자가 기대하였던 수준인가를 확인 할 수 있다.
이익예산은 기업전체의 또는 한 사업부문의 종합적 예산이므로 자연히"계획대차대조표"및"계획손익계산서"등의"계획재무재표"로써 그 예산이 표현되게 된다
일차적으로 각 부문의 예산을 종합하여 이익예산을 작성하고 이에 의하여 다시 각 부문의 예산을 재조정하여 최고경영층이 기대한 이익예산을 작성하는 데는 손익분기점 분석방법이 매우 유효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경영기획 > 예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산의 종류 ▶ 기간에 따른 구분 (0) | 2016.11.11 |
---|---|
예산의 종류 ▶ 운용에 따른 구분 (0) | 2016.11.11 |
예산의 종류 ▶ 활동기준예산 (0) | 2016.11.11 |
예산의 종류 ▶ 영점기준예산 (0) | 2016.11.11 |
예산의 종류 ▶ 변동예산 고정예산 外 (0) | 2016.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