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에 해당되는 글 27건

  1. 2016.11.18 촉진 ▶ PR
  2. 2016.11.18 촉진 ▶ 판매촉진
  3. 2016.11.17 촉진 ▶ 광고
  4. 2016.11.17 촉진 ▶ 기본개념
  5. 2016.11.17 유통
  6. 2016.11.17 가격 ▶ 가격의 결정
  7. 2016.11.17 가격 ▶ 가격의 이해
  8. 2016.11.17 제품 ▶ 제품수명주기
  9. 2016.11.17 제품 ▶ 제품의 기본개념
  10. 2016.11.17 시장세분화 ▶ 제품포지셔닝
2016. 11. 18. 15:37

■ PR

 

◆ 공중관계(PR)의 본질
기업은 자사의 종업원, 공급업자, 고객, 주주, 금융기관, 언론기관, 지약사회 및 지방자치단체, 정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공중들(public)과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이해관계를 맺고 있다. 마케팅관리자는 자기 기업에 대하여 좋은 이미지를 공중들에게 조성함으로써 제품의 판매나 기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기업과 공중 사이의 상호이해와 호의를 확보하는 것이 공중관계(PR, public relation)의 목적이며, 기업의 전반적인 촉진전략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따라서 PR의 활동범위는 매우 넓다. 기업의 활동을 알리기 위한 각종 간행물의 발간, 교육기관 또는 자선단체의 지원, 문화 및 스포츠 행사의 지원, 방문객 안내 및 접대, 기업시설의 대여 등과 같이 고객을 포함한 일반공중에게 제공하는 일체의 편익과 관심이 모두 PR의 활동에 포함될 수 있다.

 

◆ 내부지향적 PR
내부지향적 PR이란 기업의 경영층이 자사의 종법원들과 원할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하여 그들의 사기를 앙양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네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 기업구성원들 상호간의 이해를 돕는다
● 기업구성원들의도덕성을 고양시킨다
● 기업구성원들 상호간에 협동심을 조장한다
● 기업의 생산능률을 높인다
내부지향적 PR은 대면접촉, 인쇄매체 및 시청각매체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대면접촉
노사협의회, 공식적인 훈시, 비공식적인 면담, 신입사원 오리엔테이션, 종업원을 위한 각종 모임의 개최 및 후원 등
● 인쇄매체
종업원에의 서신, 기업의 사보 및 잡지, 회람, 소책자 및 브러셔 드의 발간 및 배포 등
● 시청각매체
필름, 슬라이드, 단말회로, 포스터, 제품전시회 등

 

◆ 외부지향적 PR

 

● 홍보
사람 이외의 매체(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가 기업 및 기업이 제품에 관련된 내용을 뉴스나 논설의 형태로 취급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수요를 자극하는 것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 기업광고
특정제품을 구매하도록 소비자를 설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업의 명칭이나 활동 또는 업적을 널리 알려서 기업에 대한 호의적인 이미지를 형성시키기 위한 광고를 말한다. 즉, 기업에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시켜서 기업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판매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어 내려는 장기적이고 간접적인 촉진수단이다.
● 공중행사이 기획 및 지원
기업체 주관으로 특별한 행사를 기획하여 기업이나 자사제품에 대한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회, 문화 및 스포츠행사에 자금과 시설을 기부하거나 후원함으로써 일반대중들에게 우호적인 기업이미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 음악회, 전시회, 강연회, 환경보존운동, 미아찾기운동, 도서관 이나 탁아소 건립, 심장병 어린이 돕기, 국가적인 스포츠 행사 및 문화행사 등

'마케팅 > 마케팅믹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진 ▶ 인적판매  (0) 2016.11.18
촉진 ▶ 판매촉진  (0) 2016.11.18
촉진 ▶ 광고  (0) 2016.11.17
촉진 ▶ 기본개념  (0) 2016.11.17
유통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8. 15:36

■ 판매촉진

 

◆ 판매촉진의 개념
판매촉진(sales promotion)이란 특정제품에 대한 고객 및 중간상의 인지도와 관심을 증대시켜서 짧은 기간 내에 제품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마케팅활동으로서 광고, 인적판매, 홍보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다양한 촉진활동을 의미한다.

 

◆ 판매촉진의 주요 의사결정

 

● 판매촉진의 목적설정
기업의 전반적인 마케팅목적 및 촉진목적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판매촉진은 거래점촉진과 소비자촉진으로 구분될 수 있다.

 

○ 거래점촉진(trade promotion)
제조업자가 자사의 제품을 취급하는 중간상들에게 제시하는 각종 판매촉진활동을 말한다.
◀ 목적 ▶
1. 중간상들에게 신제품의 취급을 권장하고,
2. 기업에서 생산하는 관련제품들을 확대하여 취급하도록 권장하고,
3. 자사제품의 재고수준을 더 높게유지하도록 유도하고,
4. 비성수기에 제품의 구매를 유도하고,
5. 자사세품에 대한 상표애호도를 고양시키고,
6. 새로운 중간상을 개발하는 것 등

 

○ 소비자촉진(consumer promotion)
제조업자 및 판매업자에 의하여 소비자의 제품구매를 자극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판매촉진 활동을 말한다.
◀ 목적 ▶
1. 소비자들의 대량구매를 유도하고,
2. 자사제품의 비사용자에게 시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3. 경쟁제품의 사용자를 자사제품의 사용자로 전환시키는 것 등

 

● 판매촉진 수단의 결정
제품의 특성(크기,무게,원가,내구성,용도,특징 등), 표적시장의 특성(나이,성별,소득,사용률,쇼핑 패턴 등), 제품의 유통방법(직접유통,간접유통), 중간상의 수와 유형, 경쟁조건, 법적인 환경 등을 고려하여 판매촉진 수단을 결정한다.

 

○ 거래점 촉진
▶ 가격인하
일정한 기간 동안에 구매된 제품에 대하여 제품의 정상가격에서 직접 할인하여 주는 것이다.
▶ 공제(allowance)
제조업자가 중간상들이 자사제품의 판매를 위하여 노력한 대가를 보상하는 것을 말한다.
▶ 무료상품(free merchandise)
제조업자가 대규모 중간상 및 일정량 이상의 제품을 구입하는 중간상에게 특정한 상품을 무료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 현금반환(cash refund offer, rebate)
제조업자가 중간상이 일정한 기간 동안에 거래한 양을 기준으로 하여 지불금액 중의 일부를 사례금 또는 장려금의 의미로 환불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 소비자촉진
▶ 견본(sample)
소비자에게 어떤 제품의 시용을 권장하기 위하여 무료로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견본은 방문 및 우편을 통하여 전달, 점포에서 제공, 다른 제품 및 광고물에 덧붙여 제공하는 방법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신제품 도입시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 쿠폰(coupon)
소비자가 특정제품을 구입할 때 어떤 증서를 제시하면, 그 증서에 명시된 일정한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쿠폰은 우편을 이용하거나, 신문이나 잡지의 광고에 삽입하거나, 특정제품에 삽입되거나, 특정제품에 삽입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성숙기의 제품구매를 자극하고, 신제품을 빠른 기간 내에 구매하도록 유인하는 데 효과적이다.
▶ 무료시용(fee trial)
특정제품의 구매를 자극할 목적으로 소비자가 공짜로 그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 점포 및 가두에서 음료수의 무료시음을 실시하는 경우와 자동차의 무료시승 또는 실험운전이 그것이다.
▶ 경품(premium)
특정제품의 구매를 자극하기 위하여 그 제품과는 별개의 물품을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경품은 제품의 포장용기의 내부 혹은 외부에 포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부수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예) 자사의 상호가 새겨진 티셔츠, 풍선, 재털이 등을 제공, 소비자가 일정 이상의 제품을 구매하면 선물을 제공 등
▶ 상품(prize)
특정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들 중에서 몇 명을 선택하여 그 제품의 구매 대가로 현금, 여행 또는 다른 제품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 현금반환9cash refund offer)
소비자가 특정제품을 구매한 후 그 제품을 구입하였다는 증거를 제조업자에게 우편으로 보내면, 제조업자가 우편으로 구매가격의 일부분을 환불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 소액할인
제품의 정상가격에서 소액할인된 가격을 표찰 또는 포장에 표시하여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신제품의 사용을 유도하거나, 기존제품의 수요를 자극하기 위하여 사용도는 것으로서, 단기적인 매출증대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방법)단일품목을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방법과, 관련된 두가지의 품목을 하나의 묶음으로 포장하여 저렴한 가격에 제시하는 방법이 있다.
▶ 단골고객보상
소비자가 제품을 이용한 정도 및 횟수에 비례하여 어떤 가치를 현금 또는 다른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판매촉진수단들은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단지 몇가지의 예에 불과하다. 즉, 상상력을 발휘하면 아직도 저렴한 비용으로 시장에서 커다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판매촉진 수단을 얼마든지 더 개발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다.

 

● 판매촉진 시행계획의 수립
판매촉진 목적과 수단이 결정되었으면, 이제 구체적인 판매촉진 시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첫째,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하여 또는 거래처의 협조를 얻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자극을 제공할 것이나에 대한 결정을 하여야 한다.
둘째, 어떤 조건을 갖춘 소비자 및 중간층을 대상으로 판매촉진을 할 것인가 대한 결정을 한다.
셋째, 판매촉진의 지속기간에 대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넷째, 제품의 특성과 판매촉진의 수단별 특성을 고려하여 판매촉진을 배포(점포 밖,잡지, 신문, 우편)하여야 한다.
다섯, 판매촉진의 시기에 관한 결정은 기업내부(제품생산, 가격결정, 유통경로, 광고 등과의 조화)에서의 심도있는 사전협의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 판매촉진예산을 결정한다. ( down - up, top - down )

 

● 판매촉진 시행계획의 사전시험
사전시험을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들을 시정한 후에 판매촉진 시행계획을 실행에 옮기면 실패의 가능성이 많이 감소할 것이다.

 

● 판매촉진의 실시
준비기간 : 판매촉진 시행계획이 준비되는 기간
시행기간 : 판매촉진의 실시와 함깨 시작하여 판매촉진의 대상이 되는 제품의 약95% 정도를 판매촉진의 대상자들이 구매하였을 때까지의 기간

 

● 판매촉진의 효과평가
첫째, 판매촉진을 실시하기전, 실시기간중, 판매촉진이 끝난 직후 그리고 상당기간이 경과한 다음에 매출액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한다.
둘째, 소비자 패녈자료를 이용하여 어떤 유형의 소비자들이 판매촉진에 반응하였으며, 판매촉진 후에는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를 측정한다.

'마케팅 > 마케팅믹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진 ▶ 인적판매  (0) 2016.11.18
촉진 ▶ PR  (0) 2016.11.18
촉진 ▶ 광고  (0) 2016.11.17
촉진 ▶ 기본개념  (0) 2016.11.17
유통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7. 16:26

■ 광고

 

◆ 광고의 기본개념
기업이 아무리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한다고 할지라고 그 제품의 존재 및 우월성을 소비자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면, 그 기업은 심각한 판매부진을 겪을 것이다. 따라서, 제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하여 마케팅관리자가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과업은 그 제품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그 제품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광고란 확인된 광고주가 표적고객들에게 어떤 제품의 존재, 특성, 유익성을 제시하고 설득하여 글들의 욕구나 필요를 자극함으로써 그 제품에 대한 구매행동을 촉진시키거나 혹은 광고주 자신에 대한 일반대중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행되는 비인적인 유료의 커뮤니케이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광고의 관리과정
효과적으로 광고를 표적청중에게 제시하려면 광고캠페인을 적절하게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대한 명확하고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 광고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 광고에 얼마만큼의 예산을 이용할 수 있는가
☞ 메시지의 작성은 어떻게 할 것인가
☞ 매체선정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 광고를 전달하기 위하여 어떤 매체수단을 이용할 것인가
☞ 광고일정은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광고효과는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마케팅 > 마케팅믹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진 ▶ PR  (0) 2016.11.18
촉진 ▶ 판매촉진  (0) 2016.11.18
촉진 ▶ 기본개념  (0) 2016.11.17
유통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결정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7. 16:23

■ 촉진의 기본개념

 

◆ 촉진의 의의
마케팅 커뮤티케이션이라고도 불리는 촉진(promotion)은 이미지를 제고시키거나 기업에서 생산·판매하는제품의 구매를 자극하기 위하여 실제 및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설득하는 모든 마케팅활동을 말한다. 즉, 촉진은 정보제공, 설득, 회상, 의사소통 등의 복합적인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바로 설득 및 회상시키는 것이고, 정보제공, 설득 및 회상은 의사소통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촉진의 본질적인 목적은 제품에 대한 수요곡선의 위치와 형태를 변화시키는 데 있는 것이다. 즉, 효과적인 촉진활동을 통하여 기업은 동일한 가격수준에서 제품의 판매량을 증대시키고, 제품에 대한 수요탄력성에 영향을 주어 가격이 인상될 때에는 수요에 대한 탄력성을 줄이고, 가격이 인하될 때에는 탄력성을 갖게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촉진의 기능은 정보제공, 수요창조, 제품의 차별화, 제품가치의 증진 및 판매안정이며, 그 결과는 목표고객의 구매태도와 구매행동을 변화시키거나 강화 시킬 수 있다.

 

◆ 촉진믹스의 구성요소
촉진이란 제품의 판매를 자극하는 모든 종류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의미한다.

 

● 넓은의미의 촉진
광고,판매촉진,인적판매,PR뿐만 아니라 제품의 스타일, 색깔, 포장, 가격, 유통경로, 기업의 이미지 등과 같은 마케팅믹스의 모든 요소가 포함될 수 있따.

 ● 좁은의미의 촉진
커뮤니케이션의 성격이 뚜렷하고, 의도적인 것만을 말한다. 즉, 광고, 판매촉진, 공중관계(PR), 인적판매의 네 가지 활동이 포함된다.

 

 

◆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누가, 무슨 경로를 통하여, 누구에게, 어떤 효과를 미치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려고 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 발신인(sender)
자기가 전달하고자 의도하는 내용을 다른 사람 또는 조직체에게 보냄으로써 커뮤니케이션과정이 시작되도록 하는 사람 또는 조직체를 말한다.
● 기호화(encoding)
발신인은 자신이 갖고 있는 아이디어를 전달가능한 형태의 상징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표현으로 전환시키려 한다. 이 과정을 기호화과정이라고 한다.
● 메시지(message)
발신이 보내는 추상적인 내용을 전달가능한 형태인 언어, 문자, 색체, 표정 등으로 표현한 것을 메시지라고 한다.
● 매체(media)
메시지는 어떤 특정한 커뮤니케이션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는데, 이렇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경로를 매체라고 한다.
● 해독(decoding)
발신인으로부터 메시지를 받는 수신인(receiver)은 기호의 형태로 구성된 메시지를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는데, 이 과정을 해독이라고 하다.
● 수신인(receiver)
메시지를 받은 후 어떤 반응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자신의 반응 일부를 발신인에게 다시 전달한다. 이 과정을 피드백이라고 한다.
● 잡음(noise)
커뮤니시스템의 모든 단계는 본래 의도한 메시지의 정확한 전달을 방해하거나 왜곡시키는 요인들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것을 잡음이라고 한다.

 

◆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신인과 수신인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커뮤티케이션을 하는가는 발신인의 특성, 메시지의 특성, 수신인의 특성, 공통경험영역, 잡음의 정도 등에 의하여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개발
마케팅관리자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개발하려면 우선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과정상의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일곱 가지 과정들에 대한 명확하고 체계적인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 표적청중의 선정
표적청중에는 자사제품의 현재고객, 잠재고객 또는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이 포함된다. 또한 표적청중은 개인, 집단, 특벼한 공중 또는 일반대중이 될 수도 있다. 기업에서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냐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 전달방법, 전달시기, 전달장소 등을 다르게 구성하여야 한다.
● 의사소통 목적설정
표적청중들이 현재 어떤 상태에 있는가를 알아 내어 그들을 어떤 상태로 옮겨 놓아야 하는가를 결정하여야 한다.
● 메시지의 작성
이상적인 메시지는 소비자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어야 하며, 흥미를 갖게 하며, 옥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구매행동으로 유인할 수 있어야 한다.
● 매체의 선정
커뮤니케이션 경로는 직접적으로 표적고객들과 접촉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인적 커뮤니케이션경로와 수많은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비인적 커뮤니케이션경로인 대중매체의 두가지로 구분된다.
● 촉진예산의 책정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촉진예산 결정방법으로는 가용자원법, 매출액비율법, 경쟁자기준법, 목표과업법 등의 네가지를 들 수 있다.
● 촉신믹스 결정시 고려사항
제품/시장의 유형, 촉진전략의 방향, 구매자 의사결정과정, 제품수명주기단계등을 들 수 있다.
● 촉진결과의 측정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매출액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과 표적고객의 인지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마케팅 > 마케팅믹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진 ▶ 판매촉진  (0) 2016.11.18
촉진 ▶ 광고  (0) 2016.11.17
유통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결정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이해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7. 16:20

▣ 유통경로

 

■ 유통경로의 본질
오늘날의 대부분의 생산자들은 그들이 만든 제품을 중간상을 통하여 최종소비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생산자가 이와 같이 중간상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이유는 제품의 유통경로에 중간상들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기업의 마케팅활동이 더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유통경로란 제품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 또는 최종사용자에게 옮겨가는 과정에 참여하는 개인 및 기업체를 말한다. 여기서, 유통과정에 참여하는 개인 및 기업체란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뿐만 아니라 소비자와 산업용품의 사용자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품의 생산만을 가지고는 소비자의 욕구와 기업의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였다고 할 수 없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표적시장의 소비자에게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위치에 적당량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효용을 창출하는 기능이 바로 유통경로이다.
유통경로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며, 기업에 따라서는 도일한 제품을 둘 이상의 유통경로를 통하여 판매하는 경우도 많다. 유통경로의 구성원들은 제품을 생산자로부터 소비자들에게 옮기기 위하여 물적소유, 금융, 협상, 촉진, 지불, 주문, 위험부담, 소유권을 떠맡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기업이 어떤 유통경로를 선택하는냐는 기업의 전반적인 마케팅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은 신중을 기해서 적절하고 효율적인 유통경로를 선정하여야 한다.

 

■ 유통경로의 기능

 

◆ 거래기능
☞ 구매기능
☞ 판매기능
☞ 가격형성기능

 

◆ 물적유통기능
☞ 운송기능
☞ 보관기능
☞ 구색기능
☞ 표준화기능
☞ 소량판매기능

 

◆ 조성기능
☞ 위험부담기능
☞ 금융기능
☞ 정보제공기능
☞ 고객서비스기능

 

■ 유통경로의 유형

 

◆ 소비자 유통경로

◆ 산업재 유통경로

◆ 복수 유통경로
생산자가 둘 이상의 유통경로를 통하여 제품을 판매한느 유형으로서 이질적인 다수의 세분시장에 제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두개 이상의 유통경로를 이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마케팅 > 마케팅믹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진 ▶ 광고  (0) 2016.11.17
촉진 ▶ 기본개념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결정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이해  (0) 2016.11.17
제품 ▶ 제품수명주기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7. 16:18
■ 가격의 결정

 

◆ 원가가산 가격결정법
원가에 일정비율의 이익을 가산한 것을 제품의 판매가격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수익률은 기업이나 제품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순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업계 및 구매자들에게서 관습적으로 용인되는 수준에서 결정되고 있다.
(example)
제품생산을 위하여 투입된 총고정비 : 50,000,000원
제품생산에 소요된 단위당 변동비 : 700원
제품의 기대하는 예상판매량 : 100,000개
판매가격에 대한 제품의 판매수익률 : 20%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원가가산 가격결정 (       )원
제품의 판매량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의 탄력성과 경쟁자의 가격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 목표수익률기준 가격결정법
투자에 대한 목표수익률을 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제품의 판매가격을 결정한다.
(example)
초기의 자본투자 총액 : 100,000,000원
제품생산을 위하여 투입된 총고정비 : 50,000,000원
제품생산에 소요된 단위당 변동비 : 700원
제품의 기대하는 예상판매량 : 100,000개
판매가격에 대한 제품의 목표수익률 : 15%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목표수익률 기준 가격결정 (        )원
제품의 판매량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의 탄력성과 경쟁자의 가격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 수요중심 가격결정법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는데 소요된 원가가 아니라, 시장에서 소비자가 인식하는 제품의 가치에 따라 제품의 판매가격을 결정하는 것이다.

 

● 관습가격 (customary price)
제품에 따라서는 소비자가 관습적으로 인정하는 가격, 즉 관습가격이 있어서 이 관습가격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더라도 제품의 판매는 증가하지 않는 반면에 더 비싸게 판매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판매량이 격감한다.
(예) 껌, 캔디, 비스켓, 라면, 아이스크림 등

 

● 위신가격 (prestige pricing)
소비자는 일반적으로 높은 가격을 지불하는 제품일수록 고품질의 제품으로 평가하고, 그것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지위도 높게 보는 경향을 지닌다. 제품이 소비자에 의하여 사회적 지위나 권위를 상징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경우에는 가격수준을 높게 책정하는 것이 낮게 책정하는 것보다 제품의 판매량을 증대시킨다.
(예) 고급의류, 모피, 위스키, 향수 및 귀중품 등

 

● 단수가격 (odd pricing)
소비자들에게 제품가격이 최하의 가능한 선에서 결정되었다는 인상을 주어 제품의 판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 1,000원이라는 가격보다는 990원에 더 호의적으로 반응한다. - 소비자의 심리엔 저렴하다는 인상

 

● 차별가격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판매지역, 시간, 용도에 따라 상이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차별가격은 제품의 판매량 및 이익의 증대에 기여한다.

 

◆ 품질중심 가격결정법
구 분
높은가격
중간가격
낮은가격

 

높은품질
① 특제품전략
② 고품질전략
③ 초특매전략
중간품질
④ 과대가격전략
⑤ 평균전략
⑥ 특매전략
낮은품질
⑦ 사기전략
⑧ 기만적 절약전략
⑨ 절약전략

 

● ①⑤⑨
제품의 품질수준과 가격수준이 원만하게 일치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 ②③⑥
품질수준에 비하여 제품의 가격수준을 낮추어 판매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런 가격정책은 제품의 파매량을 경쟁기업에 비해 늘리려고 할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 ④⑦⑧
제품의 수준에 비해 제품의 가격수준을 과다하게 책정한 경우이다. 이런 가격책정의 경우에 고객들은 속았다고 느낄 것이다.

 

◆ 경쟁중심 가격결정법
경쟁제품과 자사제품의 품질수준이 동일하거나 비슷한 경우에, 기업이 자사세품의 원가구조나 수요보다는 경쟁제품의 가격수준을 고려하여 자사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 상대적 고가격전략
경쟁제품과 자사제품의 품질수준은 비슷하지만, 시장에서 자사제품의 명성 및 상표인지도가 높은 경우에 경쟁제품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제품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소비자가 제품의 가격에 의하여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거나, 제품이 개인의 사회적 지위나 명예, 건강 등의 상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에 자주 사용되는 가격결정방법이다. 이 가격전략이 성공하려면, 현재 자사제품에 대한 구매의사를 가진 구매자수가 많아야 하며, 제품의 이미지가 우수하여야 한다.
● 대등가격전략
경쟁기업의 제품가격과 같거나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경쟁적인 시장에서 첫번째로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기업을 가격선도자라고 하며, 그 선도가격에 추종하는 가격을 추종가격 또는 모방가격이라고 한다.
이 전략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제품의 수요가 가격에 대하여 비탄력적이고, 대부분의 기업들이 경쟁기업의 가격변화에 대하여 언제라고 동일한 수준의 가격으로 대처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고 잇어서, 어는 특정한 기업이 가격인하에 따른 효과를 누릴 수 없는 겨우에 나타나게 된다. 대등가격전략을 채택한 기업의 마케팅전략에서 가격은 그 비중이 줄어들고 제품, 유통, 판촉 등과 같은 다른 마케팅믹스 요소들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될 것이다.
● 상대적 저가격전략
경쟁기업보다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결정하여 자사제품의 판매량증대, 시장점유율 확대, 과잉재고정리, 경쟁제품의 차별화 대응, 경쟁기업에 의한 시장침투방지 드으이 목적을 지닌 기업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 가격규제에 의한 가격결정법
우리 나라에서는 농축산물가격, 공산품가격, 공공요금, 그리고 개인서비스요금 등에 가격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 신제품에 대한 가격전략
신제품에 대한 가격형성은 시장도입 초기에는 비교적 고가격을 붙여 가격탄력성이 낮은 고소득층을 표적으로 하는 초기고가격전략과 처음부터 대중적인 저가격을 설정하여 급속히 시장을 점유하는 초기저가격전략으로 구분된다.

 

◆ 제품믹스 가격결정법

 

● 제품계열별 가격결정
동일제품 계열내에서 시장의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규격, 성능, 디자인, 수명 등이 서로 상이한 여러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 우유의 경우에는 소형포장, 중형포장, 대형포장 등 크기에 따라 다른 가격을 부여한다.
● 종속제품 가격결정
어느 특정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제품에 종속되어 있는 제품을 추가적으로 구입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 폴로라이드사는 즉석카메라의 빠른 대중화를 위하여, 카메라의 가격은 낮추고 필름의 가격을 높여 수익을 높였다.
● 선택부품 가격결정
(예) 자동차 구매자는 파워윈도우, 자동장그장치, 카에어콘, ABS 브레이크시스템, 에어백 등과 같이 자동차 제조회사에서 제공하는 선택부품들을 추가적으로 구입하여 자동차에 부착시킨다.
● 보완 및 경쟁제품 가격결정
(예-보완) 컴퓨터의 가격을 낮추어 판매량을 증대시키면 보완관계에 있는 프린터의 판매도 동시에 높아진다.
(예-경쟁) 카세트플레이어 와 CD플레이어, 만년필과 볼펜 : 전체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해야 한다.
● 제품묶음 가격결정
(예) 치약과 칫솔을 함께 구입하면 개별적으로 구입할 때의 가격보다 저렴하게 판매하여 치약과 칫솔의 판매량을 동시에 증대시킨다.

 

◆ 가격의 변경

 

● 가격인상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할 때 생산성향상이 수반되지 않으면 이익의 감소가 초래된다. 또한 제품에 대한 초과수요에 기인한다.
● 가격인하
첫째, 기업의 과잉설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되어 시장점유율이 낮아지는 경우에 기존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격을 인하한다.
셋째, 유리한 원가구조를 이용하여 시장을 지배하기 위해서 인하한다.
넷째, 제품대금을 조기에 지불하거나, 대량으로 구매하거나, 혹은 비성수기에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

 

▶ 현금할인
▶ 수량할인
누적형 수량할인, (예) 포인트 적립
비누적형 수량할인 (예) 100개 미만 일때 단가 200원, 100개 이상일때 단가 180원
▶ 거래할인
판매경로에 속해 있는 도매상 및 소매상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 제조업자가 가격을 할인해 주는 경우
▶ 계절할인
(예) 에어컨 1-3월 판매시 제품의 가격할인.
▶ 공제
거래공제-중고품을 반환하고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 판매가의 일부를 할인하여 주는것
촉진공제-제조업자의 광고와 판매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간상들에게 그 보상책으로 일정액을 지불하거나 가격을 할인 해주는 것(공구)

 

● 촉진가격
▶ 유인용 손실가격
슈퍼마켓이나 백화점이 소비자들을 점포로 유인하기 위하여 널리 알려진 제품의 가격을 인하하는 것을 말한다.
▶ 특별행사가격
특정계절이나 기간에 정상적인 가격보다 저렴하게 판매업자가 임의 판매하는 촉진적 가격이다.
(에)재고처리 및 고객유치
▶ 현금반환
구매 후 가격인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소비자가 구매한 후에 구매증명서를 제조업자에게 보내면 제조업자가 우편으로 구매아격의 일부를 반환하는 것을 말한다.
▶ 심리적 가격할인
특정제품의 가격을 처음에는 비싸게 책정하였다가 어는 정도 지나면 대폭할인된 가격으로 그 제품을 소비자에 판매하는 것이다

 

'마케팅 > 마케팅믹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진 ▶ 기본개념  (0) 2016.11.17
유통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이해  (0) 2016.11.17
제품 ▶ 제품수명주기  (0) 2016.11.17
제품 ▶ 제품의 기본개념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7. 16:13
■ 가격의 이해

 

◆ 가격에 대한 여러가지 명칭
 
가격(price) : 제품의 효용
이자(interest) : 금전의 차용
봉급(salary) : 관리자의 과업수행에 대한 대가
임금(wage) : 노무자의 노동에 대한 대가
보험료(premium) : 불학실성에 대한 보장
수수료(commission) : 부동산의 판매중개에 대한 보상
임대료(rent) : 주택의 일정기간 동안의 사용
요금(fare) : 교통수단(비행기,버스,선박 등)의 이용
요금(rate) : 공공시설(수도,전기,가스 등)의 이용
통행료(toll) : 다리, 유료도로의 교육
등록금(tuition) : 교육기관에서의 교육
기부금(donation) : 자선, 사회봉사에의 참여
회비(dues) : 모임의 참가
사례금(tip) : 서비스업에서의 봉사
벌금(fine) : 잘못된 행위에 대한 처벌
뇌물(bribe) : 불법행위의 묵인
소득세(income tax) : 일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가격이란 반드시 회폐의 형식으로만 나타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물건과 물건과의 직접교환에 사용되는 교환비율도 가격이라고 할 수 있다.

 

◆ 가격의 중요성
가격은 제품에 대한 시장수요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경쟁상의 지위와 시장점유율뿐만 아니라 기업의 수익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격은 마케팅믹스 요소들 중에서 기업에 이익을 제공하는 유일한 요소로서, 기업의 마케팅 프로그램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격결정이 제품, 유통경로, 촉진 등과 조화를 이룰 때 효과적인 마케팅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다.
가격은 경쟁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을 지닌 마케팅믻의 요소이다. 즉, 기업이 시장에서 경쟁기업의 전략변화나 시장상황의 변화를 알아채고 이에 대응하고잘 할 경우에 제품이나, 유통과 같은 마케팅믹스요소의 변경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지만, 가격은 상대적으로 재빨리 대응할 수 있는 신축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기업이 채택한 가격결정은 마케팅믹스의 다른 요소들에 대한 결정과 달리 경쟁기업에 의하여 손쉽게 모방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가격결정시 중요한 고려사항은 가격을 내리는 것은 매우 쉽지만, 일단 내렸던 가격을 다시 올리기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케팅목표
일반적으로 기업은 시장에서의 계속적인 생존, 현상유지 또는 가격안정, 시장점유율의 유지 및 확대, 수익성의 유지 및 확대, 시장에서의 품질선도 등과 같은 마케팅 목표를 가격정책을 통하여 이룩하려고 한다.
● 원가구조
원가는 제품의 가격결정에 있어서 출발점을 세시하는 요소이다. 즉, 기업은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충당하고, 투입한 노력과 위험에 비추어 적정이익이 보장되는 수준에서 가격을 결정할 것이다. ( 고정비, 변동비, 총비용, 한계비용, 그리고 손익분기점 )
● 제품에 대한 수요
예상되는 수요량이 얼마나 되며,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어느 정도인가 등이 제품의 가격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기업이 가격을 어떻게 책정하는가에 따라 제품의 수요는 달라지며 그 수요에 따라 자사제품의 실제 판매량이 결정되므로 기업은 가격결정을 하기 전에 가격이 수요에 미치는 영향, 즉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파악하여야 한다. ( 비탄력적, 단위탄력적, 탄력적)
● 시장에서의 경쟁상황
완전경쟁, 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경쟁구조는 판매자측면에서의 경쟁상황과 구매자측면에서의 경쟁상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얼마나 수의 판매자들이 시장에 존재하며, 얼마나 많은 수의 구매자들이 시장에 있는가의 문제이다.
● 정부의 규제

 

'마케팅 > 마케팅믹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진 ▶ 기본개념  (0) 2016.11.17
유통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결정  (0) 2016.11.17
제품 ▶ 제품수명주기  (0) 2016.11.17
제품 ▶ 제품의 기본개념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7. 16:10
■ 제품수명주기

 

◆ 제품수명주기의 개념 ( product life cycle )
자연의 모든 동식물들이 태어나서 성장을 거치면서 사망하기까지의 일련의 주기를 거치듯이, 기업에서 생산하는 제품 역시 몇 개의 단계를 거쳐서 수명을 다하게 된다. 즉, 제품수명주기의 개념은 생물의 일생에서 유츄된 것이다. 시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시장에서 영구히 존속하며 판매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이 경화하면 판매되지 않는다. 그 이유로는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의 변화에 따라서 제품의 필요성이 없어지는 경우와 기술의 진보에 따라 새로운 대체제품이 출현하게 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제품수명주기란 신제품이 시장에 도입된 시점부터 시작하여 그 제품이 시장에서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의 매출량, 수익률, 경쟁자, 고객 및 마케팅활동 등을 나타낸 것이다.
제품수명주가는 매출액과 이익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작성한 것으로 여러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제품수명주기는 학자에 따라 3단계에서 6단계까지의 여러단계로 구분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도입기, 성장기,성숙기, 쇠퇴기의 4단계로 나누어 진다.

 

◆ 각 단계별 특징 및 마케팅 전략

 

● 도입기(introduction stage)

 

▶ 도입기의 특징
일반적으로 제품의 판매량이 적고, 경쟁자가 없으며 유통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익이 거의 없거나 혹은 적자가 발생하는 시기이다. 또한 이 시기의 제품가격은 일반적으로 높다. 그 이유로는 제품개발 및 시장진입에 소요된 연구개발비용, 초기시설투자비용, 촉진비용 및 유통망구축비용 등을 빠른 시일 내에 회수하고자 하는 목적 때문이다.

▶ 마케팅 전략
이 시기에 기업은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본원적인 수요를 자극하여 1차 수요를 유발시키기 위한 마케팅전략을 구사하여야 한다. 기업의 신제품이 시장에서 완전한 신제품이라면 소비자들이 그 제품에 대한 지식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마케팅노력은 그 제품이 제공하는 효익과 유용성을 알리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러나 기업의 신제품이 기존의 특정제품을 대체하는 경우에는 그 신제품이 기존제품에 비하여 차별적인 우월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려서 소비자들의1차수요를 유발시켜야 한다.
이 시기의 촉빈활도의 주요목적은 제품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제품에 대한 기본적인 수요를 창출하는 데 있으며, 소비자들이 시범적으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힐 수 있는 여러가지 판매촉진수단을 이용하여야 한다. 또한 시장에서 경쟁자의 수가 적고 제품단위당 생산비용과 마케팅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초기고가정책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격결정방법은 생산원가에 높은 이익을 더하는 원가가산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경쟁기업의 시장진비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슨 초기저가격전략을 채택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신제품의 유통경로를 확보하여 소비자들이 새로운 제품ㅇ르 쉽게 구입할 수 있게 하고 소비자의 사용구매를 유도하여야 한다.

 

● 성장기 (growth stage)

 

▶ 성장기의 특징
제품이 다수의 소비자들에 의하여 급속하게 채택되기 시작하는 단계로서, 제품의 급속한 판매성장과 더불어 다수의 경쟁자들이 시장에 대한 매력을 느껴 진입하기 시작한다. 또한 제품을 취급하는 유통망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 마케팅 전략
마케팅전략의 기본목적은 시장점유율의 확대이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의 포지션을 강화하여 기존 소비자의 반복구매를 유도하고 새로운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여야 한다. 또한 이 시기에는 경쟁자들도 시장에 진입하게 되므로, 시장에서 경쟁제품들과 비교하여 자사제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선택적 수요를 유발시키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하며,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세분시장을 찾아 시장세분화를 시도하여야 한다.
▶ 빠른 시장점유률을 유지한기 위한 전략
첫째, 시장에서 경쟁이 점점 치령하여지에 따라 기업은 제품의 품질개량을 시도하고 새로운 특징과 개량된 스타일을 추가하기 시작하며, 새로운 모델과 주변제품을 제공하기 시작하며, 제품에 대한 사후 서비스를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아직까지는 시장에서 초과수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고가격정책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지만, 경쟁기업보다 높은 시장점유율의 성장과 확보를 위하여 시장침투가격을 사용하며 저가격정책을 채택하는것도 바람직하다.
셋째, 자사제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수를 광범위하게 구축하려는 시도로서 선택적 유통경로정책에 개방적 유통경로를 추가한다. 즉, 기존의 유통업자와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매출실적이 취약한 지역에서는 자사제품을 취급하는 점포수를 대폭 확대하여야 한다.
넷째, 촉진의 목표는 소비자에게 자사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관심도를 증가시키는 데 있다. 광고의 내용은 소비자에게 제품을 인지시키는 것에서 탈피하여 제품구매에 대한 확신을 소구하는 내용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 성숙기 (maturity stage)

 

▶ 성숙기의 특징
성숙기에는 성장기에 진입한 많은 경쟁기업들로 인하여 제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들의 대부분은 이미 제품을 구입한 상태이다. 이 시기는 도입기나 성장기에 비하여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며, 제품에 대한 수요는 포화상태가 되고, 신규수요가 없어져서 대체수요나 반복구매에 의한 수요가 주된 것이며, 매출도 거의 안정된 일정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판매의 증가율이 현저히 둔화되기 시작하며, 마침내는 판매가 어는 일정한 수준을 맴돌게 된다.
▶ 마케팅 전략
이 단계에서의 마케팅목표는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려는 노력보다는 이미 확보한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하여 쇠퇴기에 대비하는 것에 있다. 시장이 안정되고 경쟁자들이 많을 경우에 시장세분화에 의한 표적시장의 선정은 필수적이 때문에, 성숙기의 초기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전략은 계속적으로 시장세분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제품의 가격인하는 필수적이며, 제품의 가격은 성장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결정된다. 또한 기업은 자사제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수를 광범위하게 구축하려는 시도로서 전면적으로 개방적 유통경로정책을 실시한다. 광고는 경쟁제품과 자사제품과의 차이점과 사용자의 상표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판촉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한다.

 

★ 시장수정
제품의 비사용자를 사용자로 전환시키며, 새로운 세분시장에 진출하고, 경쟁기업의 고객을 빼앗는 방법 등을 통하여 제품사용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현재의 제품사용자들에게 제품의 사용빈도를 증가시키며, 매번 사용량을 늘리도록 하며, 제품에 대한 다양한 용도를 제시하여서 제품의 판매량을 늘리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 제품수정
제품의 질적, 외형적 또는 심미적 특성을 수정·개량함으로써 성숙기에 도달한 제품의 판매를 자극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품질개량, 스타일개량, 기능개량 형태로 나타난다.
★ 마케팅믹스의 수정
기업이 현재 실행하고 있는 한 가지 이상의 마케팅 믹스 요소를 수정함로써 판매를 자극할 수 있다. 즉 제품 이외의 마케팅믹스 요소인 가격, 유통경로, 광고, 판매촉진 등에 수정을 가함으로써 성숙기에 도달한 제품의 판매를 새로이 조성할 수 있다.

 

● 쇠퇴기 (decline stage)

 

▶ 쇠퇴기의 특징
소비자욕구의 변화, 새로운 기술의 개발, 경쟁기업의 활동, 환경요인 변화 등과 같은 기업내외의 여러가지요인으로 인하여 제품의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쇠퇴기를 맞이한다.
이 시기에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최종수용자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선 기업은 제품판매의 증대 및 유지를 기대할 수 없으며, 어는 시점 이후부터는 판매가 되지 않고 적자가 나기 시작한다.
▶ 마케팅전략
이 시기의 마케팅목표는 비용절감과 투자비의 회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매출액이 저조한 품목들을 제거하며 최소한의 이익을 유지하는 수준에서 저가격정책을 채택한다. 취약한 중간상들을 제거함으로써 적정한 수의 점포만을 유지하는 선택적 유통경로전략을 도입한다. 광고 및 판매촉진활동은 핵심고객의 유지에 필요한 최소수준으로 줄여나간다.

 

'마케팅 > 마케팅믹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진 ▶ 기본개념  (0) 2016.11.17
유통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결정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이해  (0) 2016.11.17
제품 ▶ 제품의 기본개념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7. 16:07

■ 제품의 기본개념

 

◆ 제품의 이해
제품이란 마케팅믹스의 여러 요소들 중에서 기업이 이윤을 창출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다. 제품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지 못한다면, 기업이 다른 마케팅믹스의 요소들을 아무리 잘 혼합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한다고 하더라도 소비자는 곧 실망하여 재구매를 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품음 소비자들을 충족시키기 이한 가장 기본족인 충족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제품이란 소비자의 요구나 욕구를 충족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그것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획득하거나 사용 또는 소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시장에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재화 및 무형의 서비스, 사람, 장소, 조직체 및 아이디어 등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제품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자동차, 구두, 빵 등과 같은 유형의 물리적 제품과 더불어 영화, 여행, 이발 등과 같은 무형의 서비스와 개인의 경영능력 및 기술, 세금에 대한 카운슬링, 상상력 등과 같은 아이디어를 포함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시장에서 거래를 바탕으로 하여 교환되고 소비되는 모든 대상은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은 제품을 판매함으로써 영업이익을 얻고 소비자는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만족을 얻고자 한다.

 

● 제품의 세 가지 수준

이를테면, 소비자가 선풍기를 구입하는 것은 선풍기로부터 시원한 바람을 얻기 위한 것이므로 핵심적 부분에 해당하며, 선풍기 자체, 즉 선풍기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인 외관, 디자인, 선풍기의 색깔 등은 실체적 부분을 형성하고 있으며, 선풍기의 사용설명, 애프터 서비스, 선풍기의 배달 등은 포괄적 부분에 해당한다.

 

◆ 제품의 분류

 

● 사용목적에 의한 제품의 대분류

소비용품

산업용품

 

● 쇼핑습관에 의한 소비용품의 분류

편의품

선매품

전문품

미탐색품

 

● 사용목적에 의한 산업용품의 분류

원재료

주요설비

부속설비

구성부품

가공재료

산업소모품

전문서비스

 

● 내구성과 형태에 따른 분류

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

 

◆ 제품믹스(product mix / product assortment)
제품믹스와 관련있는 개념으로는 제품품목과 제품계열을 들 수 있다.제품품목(product item)이란 규격이나 가격, 외양 등의 속성이 서로 다른 하나하나의 제품단위를 말하며, 제품계열(product line)이란 기업이 제조·판매하는 하나의 제품군으로서 고객의 욕구나 용도, 판매경로, 가격범위, 기능, 원재료, 제조공정 등이 서로 유사하여 밀접하게 관련 있는 제품들의 집단을 말한다.
기업의 제품믹스는 그 제품구성에 있어서의 넓이, 길이, 깊이 및 일관성 등으로 설명되어 진다.

 

● 첫째, 제품믹스의 넓이(width)는 기업이 생산하고 있는 제품계열의 수를 나타낸다.
● 둘째, 제품믹스의 길이(length)는 제품믹스내에 있는 전체 제품품목의 수를 의미한다.
● 셋째, 제품믹스의 깊이(depth)는 제품계열 내의 각 제품품목에 얼마나 많은 변체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 넷째, 제품믹스의 일관성(consistency)이란 각 제품계열이 최종용도, 생산여건, 활용되는 유통경로 등과 관련하여 서로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를 나타낸다.
기업은 자사의 제품믹스를 넓이, 길이, 깊이 등의 세 가지 차원에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제품을 추가하거나 혹은 기존의 제품계열을 제거하거나, 제품계열을 길게 하거나 혹은 짧게 하거나, 더 많은 제품변종을 생산할 수 있다.

 

◆ 포장화와 레이블링

 

● 포장화(pakaging)
제품을 두러싸고 있는 포장지나 용기를 디자인하고 생산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며, 포장지나 용기 자체를 포장이라고 한다. 포장은 제품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서 유통이나 저장중에 내용물이 변질,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취급이나 사용하기 편리하게 해 주며, 더 나아가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켜 제품에 대한 고객의 태도나 그들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레이블링
제품에 관한 일년의 정보가 기록된 표찰을 말하는 것으로서 생산자나 판매자가 자사의 제품에 대하여 레이블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활동을 레이블링(labeling)이라고 한다. 또한 일반적인 개념으로서 포장의 일부가 되어 정교하게 디자인된 도안이 될 수도 있다

 

◆ 상표
특정판매업자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다른 판매업자들로부터 식별하고 차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명칭,말,상징,기호,디자인,로고와 이들이 결합된 결합체라고 정의되고 있다. 상표의 개념으로는 상표명, 상표마크,등록상표 등이 있다.

 

● 상표명(brand name)
● 상표중에서 말로 발음하고 나타낼 수 있는 문자, 단어, 숫자 부분을 말한다.
● 상표마크(brand mark)
● 상표 중에서 상징, 디자인, 독특한 색상이나 문자와 같이 인식은 되지만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부분을 가리킨다.
● 등록상표(trademark)
● 특정상표의 독점적 사용이 법적으로 보장되어 보호받을 수 있는 상표라는 의미이다.
● 판권(copyright)
● 사물, 문헌, 음악 또는 예술작품 등에 재제작, 발간 그리고 판매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말한다.

 

◆ 보증
판매자에 대한 약속이다. 즉, 제품의 기능에 이상이 있을 경우 생산자 또는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어떻게 하겠다고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 반품과 교환의 보증
● 일정한 품질수준의 보증
● 고장이나 손상에 대한 보증
● 일정한 기간에 대한 보증

 

◆ 사후서비스
판매된 제품의 이용에 필요한 대체부품을 공급하고, 고장시에는 무료 또는 실비로 수리하거나 부품교환을 해 주며, 제품에 대한 사용법이나 기술적인 조언을 해 주는 등의 서비스 활동을 통하여 그 제품이 지니고 있는 본래의 정상적인 기능을 항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활동을 말한다.

 

◆ 신용서비스
외상거래, 할부판매 등의 신용서비스는 기업에게 재무적인 부담을 안겨줄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 첫째, 금전적인 사정으로 인하여 제품의 구입을 망설이거나 연기하려는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
● 둘째, 신용서비스를 통하여 안정된 시장점유율을 획득하고 유지할 수 있다. 기업으로부터 신용을 제공받은 고객들은 그 기업에 대한 애착심을 가지게 된다.
● 셋째, 신용을 제공한 기업은 고객들로부터 신용제공에 따른 지속적인 이자소득을 얻을 수 있다

'마케팅 > 마케팅믹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진 ▶ 기본개념  (0) 2016.11.17
유통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결정  (0) 2016.11.17
가격 ▶ 가격의 이해  (0) 2016.11.17
제품 ▶ 제품수명주기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
2016. 11. 17. 16:03
■ 제품포지셔닝

 

◆ 제품포지셔닝(product positionin)
표적시장 내에 존재하는 경쟁기업들과 효과적으로 경쟁하기 위해서 자사제품이 경쟁제품과는 다른 차별적인 특징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욕구를 보다 잘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을 제품포지셔닝(product positionin) 이라고 한다.

 

◆ 인지도 분석
마케팅관리자가 제품 포지셔닝에 관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사세품과 경쟁제품들이 시장에서 각각 어떻게 포지션이 되어 있는가를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것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이 인지도분석이다.
인지도(perceptual mapping)분석을 실시하려면 먼저 소비자들이 특정제품을 선택할 경우에 어떤 평가기준을 사용하는가를 알아야 한다. 주로 사용되는 평가기준으로는 제품의 가격, 품질, 성능, 디자인, 스타일, 서비스 등관 같은 제품의 속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제품의 편익, 용도, 경쟁제품, 주요 고객층 등을 평가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인지도는 소비자조사의 결과가 가격과 품질이 여서의류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었음을 전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각 경쟁제품들의 소비자인지 정도를 표시한 것이다. 표적시장 내에서 기존의 경쟁제품들이 충족시키지 못한 소비자의 욕구 (" X "표의 위치)를 발견하여 새로운 제품의 포지셔닝 기회를 찾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빈 공간에 적합한 제품을 기술적 및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의 수가 충분히 많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는 경우에는 제품을 개발하여 그 빈 공간에 표지셔닝하게 된다.

 

◆ 포지셔닝 접근방법
인지도 분석을 통하여 자사제품의 목표포지션을 선정한 후에 마케팅관리자는 구체적인 접근방법을 통하여 목표포지션으로 자사제품을 이동시켜야 한다.

 

● 속성에 의한 포지셔닝
자사제품이 경쟁제품과 비교하여 차별적 속성 및 특징을 지니고 있어서 소비자에게 독특한 효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인식을 소비자에게 심어주는 것이다.
(예) 아스피린성분을 제거한 두통약 타이레놀, 치아를 보하하는 덴티큐껌, 경제성을 강조하는 티코 등

 

● 사용상황에 의한 포지셔닝
소구제품의 적절한 사용상황을 묘사 또는 제시함으로써 제품을 포지셔닝한다. 이 경우 소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자사제품의 필요성을 공감할 수 있는 사용상황을 제시해야 한다.
(예) 점심식사 후의 음식냄새 및 입냄세 제게에 효과적인 후라보노, 풍치예방에 효과가 있는 죽염치약

 

● 제품사용자에 의한 포지셔닝
특정한 소비자들에게 자사의 제품이 적절하다고 소구하는 방법이다.
(예) 20세 감성 TTL

 

● 가격/품직에 의한 포지셔닝
제풍의 가격주준과 품질수준을 연관시켜 소비자에게 소구하는 방법이다.
(예) 비싼 가격을 지불하지만 믿을 수 있는 높은 품질의 제품을 안심하고 구입할 수 있는 갤러리아

 

● 경쟁에 의한 포지셔닝
소비자의 머리속에 자리잡고 있는 경쟁제품과 명시적 혹은 묵시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자사제품의 혜택을 강조하려는 방법이다.
(예) 콜라가 아니다 콤비콜라 등

 

◆ 마케팅믹스의 개발
제품포지셔닝이 결정된 후에 마케팅관리자는 표적시장의 욕구충족과 마케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마케팅믹스를 계획하여 실행하여야 한다. 마케팅믹스란 마케팅전략이 추구하는 목표달성을 위하여 제품, 가격, 경로, 촉진 등의 제 요소를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마케팅활용에 관한 의사결정의 중심적 과제임과동시에 마케팅 제활동의 통합이다.마케팅믹스의 요소들은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으며, 한 분야에서의 의사결정이 언제나 다른 분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마케팅 > 시장세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세분화 ▶ 표적시장  (0) 2016.11.17
시장세분화  (0) 2016.11.17
Posted by 윤응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