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적시장
◆ 표적시장의 유형


전체시장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세분되어 있더라도 각각의 세분시장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욕구를 무시하고 전체시장을 단일시장으로 인식하여 대량생산과 대량판매에 의한 한 가지의 제품만으로 전체시장에서 다수의 공통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마케팅이다. 따라서 공통점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가장 많은 소비자들에게 널리 소구할 수 있든 대표적인 제품과 표준화된 마케팅 전략을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비차별적 마케팅전략으로 성공할 수 있는 제품들은 설탕, 소금, 석유 등과 같은 일부 편의품과농산품을 예로 들 수 있다.
● 단일 세분 시장
전체시장 가운데서 오직 하나의 세분시장만을 선정하여 기업의 마케팅노력을 집중하는 형태이다. 기업의 자원이 한정되어 있거나, 기업이 새로운 시장에 진입할 때 추가적인 세분시장의 확장을 위한 출발점으로 삼고자 할 때 주로 이용된다.
아가방이 유아용품에 관련되 제품만을 생산하고, 신사임당가구가 전통가구류를 선호하는 부유층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좋은 예이다.
● 제품의 전문화
다양한 세분시장에 단일제품을 소구하는 형태이다. 즉, 기업은 다양한 고객집단에게 판매할 수 있는 특정제품을 생산하는 데 기업의 노력을 집중한다.
코리아 제록스는 다양한 고객층의 욕구충족을 위해 여러 종류의 복사기를 시판하고 있지만, 복사기 이외의 다른 사무용기구들은 생산하지 않는다
● 시장의 전문화
특정고객집단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다.
패션시장에서 20대의 직장여성에 적합한 의류, 구두, 액세서리, 신변잡화를 전문적으로 생산·판매하는 기업이 이에 해당된다.
● 선별적 전문화
기업이 세분화딘 시장들 중에서 기업의 입장에서 가장 매쳑적이고 기업의 목표와 자원과 조화가 있을 것 같은 몇 개의 세분시장을 표적시장으로 선정하여 그 시장의 욕구에 적합한 마케팅믹스를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 다수제품 전체시장
가용자원이 풍부한 대기업은 전체시장을 세분화한 후에 모든 세분시장을 표적시장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세분시장에 적합한 제품과 마케팅전략을 채택할 수 있다.
◆ 표적시장 선정시 사용되는 기준
● 특정세분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기업의 사업목표 및 마케팅목적과 일치하는가를 검토한다.
특정 세분시장의 장기적인 매력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시장 내에서의 기존경쟁자의 위협성, 새로운 경쟁자의 시장진입 가능성, 대체품의 등장 가능성, 주요 구매자의 협상력, 원료 공급업자의 협상력 등을 들 수 있다.
'마케팅 > 시장세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세분화 ▶ 제품포지셔닝 (0) | 2016.11.17 |
---|---|
시장세분화 (0) | 2016.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