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업유망분야
◆ 현재분야에서 수요자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분야
수요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작업하기 어려운 것, 정밀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것, 사람손이 너무 가는 것 등을 찾아내어 이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 성장산업의 주변분야
정보통신, 산업용 로봇, 광섬유, 생명공학 등의 분야는 큰 성장이 기대되고 있는데 성장분야의 주변에는 주변장치, 검사장치, 각종 보조기기, 전용부품에 부수하는 주변분야가 반드시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변분야는 많은 경우에 재래기술의 결합으로 가능하다는 데에 중소기업의 유리점이 있다
◆ 작은 특성 시장의 분야
자사의 생산 및 판매능력을 훨씬 능가하는 큰 시장을 대상으로 해서는 안된다. 시장이 큰 경우에는 신제품개발에 성공하더라도 판매력이 큰 대기업에 압도되고 만다
◆ 지역밀착이 유리한 분야
지역사회에 대한 밀착도가 높은 중소기업의 유리점을 살릴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여 세심한 영업활동이나 서비스의 제공으로 성공한 중소기업도 많다. 지역밀착이 유리한 분야는 생활관련분야의 제품에서 비교적 많이 볼 수 있다
◆ 고유기술을 살릴 수 있는 분야
기술면에서 관련이 없거나, 잘 모르는 분야에서의 신제품개발은 위험이 크다. 따라서 기업에 축적되어 있는 고유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작업의 표준화가 어려운 분야
작업내용이 매번 다르며 작업을 표준화하기 어려우므로 현장에서 현물을 보고 현실적인 아이디어로 만들지 않으면 안될 제품은 중소기업에 유리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고품질, 다품종, 소량생산은 작업의 표준화가 어려운 만큼 바로 중소기업의 분야인 것이다
◆ 변화의 선취가 필요한 분야
변화를 먼저 파악하여 제품개발에 연결시키는 데는 많은 기회가 따르고 정보를 직접 뛰어다니며 수집하여 활용하며 계획을 추진할 행동력이 강한 중소기업에는 많은 기회가 제공된다. 또한 다행히 첨단산업은 지식집약산업으로 기업규모가 클 필요가 없고 또 중소기업의 장점인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것이다
◆ 지식·기술집약적 분야
고기술제품은 개인의 두뇌에 의존하는 관계로 첨단기술의 개발에는 소수의 고급인력만으로 족한 기술집약형의 중소기업이 오히려 적격이다. 또 산업사회가 고도화·세분화될수록 국제분업화가 촉진되고 이에 따라 중소기업이 참여할 분야는 더욱 많아지게 된다
'창업하기 > 창업의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전략 ▶ 성공창업전략 (0) | 2016.11.21 |
---|---|
창업의 요소 및 준비절차 ▶ 창업준비절차 (0) | 2016.11.21 |
창업의 요소 및 준비절차 ▶ 창업의 요소 (0) | 2016.11.21 |
창업, 기업과 경영 (0) | 2016.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