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가계산 종류
◆ 제조원가계산과 총원가계산
이것은 회계대상인 경영활동에 따른 분류이다
제조원가계산은 제품의 제조활동을 계산대상으로 하여 제품의 제조원가 집계하는 것이다
총원가계산을 제품의 제조원가뿐만 아니라 판매비와 일반관리비의 배부 까지를 계산대상으로하는것이다 판매비와 일반관리비는 이익관리 목적에서 이을 제품계산별계산뿐만아니라 판매지역별,판매방법별,사업부별 등으로 집계, 분석, 계산하기도 한다. 총원가계산은 제품의 총원가에 일정률의 이익을 가산하여 제품의 판매가격을 결정하는 가격결정방식으로 중요시된다. 그러나 재무제표작성시의 원가는 제조원가로 한정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
이것은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계산방법의 분류이다
● 개별원가계산
주문생산업,건축업 등과 같이 여러 종류의 제품을 개별적으로 생산하는 경영형태에 적용되는 원가계산 방법이다
개별원가계산에서는 발생원가를 직접비와 간접비를 구분하여 직접비는 각종 특정제품에 직접부과하고 모든 제품에 공통적으로 소비되는 간접비는 한 원가계산기간의 총액을 파악한 다음 이를 합리적인 배부기준에 의하여 각종 특정제품에 배부하여 특정제품의 원가를 계산한다
● 종합원가계산 (Process Cost System)
제지, 제분, 시멘트제조 등과 같이 동종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경영형태에 적용하는 원가계산방법이다
종합원가계산에서는 일정기간의 제품제조원가를 계산한 다음 이를 그 기간의 총제조수량으로 나누어 제품단위당 평균제조원가를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당기제품제조원가는 다음 산식으로 계산한다
기초재공품원가 + 당기총제조비용 - 기말재공품원가 = 당기제품제조원가
◆ 실제원가계산과 추정원가계산과 표준원가계산
이것은 계산되는 원가의 종류의 관한 분류이다
● 실제원가계산(Historical Cost Accounting)
실제원가의 발생액을 집계하여 제품의 실제원가를 계산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후원가계산이 되며 재무제표작성목적에 적합하다.
● 추정원가계산(Estimate Cost Accounting)
원가의 발생액을 추정액에 의하여 제품의 추정원가(또는 견적원가, 예정원가)를 계산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전원가계산이 되며 경영계획 목적에 적합한 원가계산이다.
● 표준원가계산(Standard Cost Accounting)
원가발생의 표준을 미리 정하여 놓고 이에 의하여 제품의 원가를 표준액으로 계산한 다음 실제발생액과의 차이를 계산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가관리목적에 적합한 원가계산이다
◆ 전부원가계산과 부분원가계산
이것은 집계하는 원가의 범위에 따른 분석이다
● 전부원가계산(Full Cost Accounting)
제품제조에 소비된 원가의 전부를 계산범위로 하는 것을 말하며 재무제표작성목적의 원가계산은 전부제조원가계산을 적용한다.
● 부분원가계산
일부의 원가요소만을 계산범위로 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으로는 직접원가계산(Direct Cost Accounting)이 있다
직접원가계산은 변동원가계산(Variable Costing)이라고도 하며 여기에서는 제조원가를 변동비와 고정비로 나누고 변동비만을 제품원가로 집계하고 고정비는 제품원가에서 제외하여 기간원가로 처리하는 것이다. 직접원가계산은 원가관리나 경영계획에 유용한 것이며 재무제표작성목적에는 적합하지 않다.
'경영기획 > 원가관리와 원가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계산의 절차 ▶ 개별원가계산 절차 (0) | 2016.11.15 |
---|---|
원가계산의 절차 ▶ 원가계산의 절차 (0) | 2016.11.15 |
원가계산 ▶ 고정비 그리고 변동비 (0) | 2016.11.15 |
원가계산 ▶ 직접비 그리고 간접비 (0) | 2016.11.15 |
원가계산 ▶ 원가계산 (0) | 2016.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