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1. 15. 16:07

■ 원가계산

 

◆ 기본개념
원가의 어디에 낭비가 있는지, 경쟁 회사에 견주어 자기 회사의 원가는 높지 않은지, 과목별로 어디가 어떻게 다른지 등을 조사하려면 원가 계산의 내용 및 수치를 명확히 하고 이것을 분석해서 원가 표준 결정하여 이 표준에 견주어 높은지 낮은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정확한 원가계산을 하여 기본이 되는 수치를 파악하고 표준원가를 설정하여 실적과의 차이를 파악·분석한 다음, 개선을 꾀하는 것이 원가계산이다

 

◆ 원가계산의 목적

 

● 이익산정
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매출총이익을 계산하고, 매출총이익에서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를 차감하여 영업이익을 계산한다.
회사의 목적이 극대화에 있는 한 이익은 회사와 이해 관계가 있는 모든 사람들의 가장 큰 관심사이다.

 

● 매가결정
판매일 경우에는 반드시 판매가격을 결정해야 한다. 그 때에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계산한다.
이런 식으로 계산된 원가에 일정한 비율의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그리고 이익를 가산하여 판매가격을 결정한다

 

● 관리목적
원가의 어디에 낭비가 있는지, 경쟁 회사에 견주어 우리 회사의 상황은 어떠한지 과목마다 어디가 어떻게 다른지 등을 조사하려면 원가계산 결과의 수치를 상세히 분석해서 원가의 표준을 결정하고 표준과 대비해 볼 필요가 있다. 원가계산을 하지 않으면 개선이 안 된 채로 방치된다

 

◆ 원가의 구성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제조직접비
직접원가 + 제조간접비 = 제조원가
제조원가 +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 총원가
총원가 + 이익 = 판매가격

 

● 직접원가
직접원가는 직접비인 원가요소만으로 구성된 원가로서 특정제품의 제조를 위하여 소비된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직접경비의 세가지를 포함한다. 이 원가는 원가구성의 제1단계 또는 기초를 이룬다는 점에서 제1원가 또는 기초원가라고도 한다

 

● 제조원가
제조원가는 직접원가에다 일정한 배부기준에 의하여 배부된 제조간접비를 가산한 것으로 제조기업의 제조활동에 의하여 발생된 모든 원가요소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원가는 공장에서 발생하는 원가라는 의미에서 공장원가라고도 부르며, 또는 생산원가, 제2원가라고도 일컫는다. 보통 원가라고 하는 경우에는 이 제조원가를 말한다

 

● 총원가
총원가는 제품의 제조원가에 판매비와 일반관리비를 가산한 금액을 말한다. 따라서 총원가는 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위하여 발생한 모든 원가요소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이것은 제품의 판매가격을 결정하는 기초가 되는 것이므로 판매원가라고도 하며 제3원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판매비는 특정제품의 판매에 관하여 직접 발생하는 판매직접비와 전제품의 판매에 대하여 전체적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판매간접비가 있으며, 일반관리비는 거의가 간접비가 된다. 대개의 경우는 판매비와 일반관리비를 나누어서 취급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편의상 양자를 일관 취급하고 있다

 

● 판매가격
판매가격은 총원가에 판매이익을 가산한 것으로서 제품의 매출가격을 말한다. 판매가격은 기업주 자신이 결정하는 경우와 기업주측의 원가와 관계없이 시장에서의 수요공급 관계에 의하여 결정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주문에 의하여 생산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총원가를 기초로 하여 일정한 이익을 가산함으로써 판매가격을 결정한다

 

◆ 원가계산의 기본방식
원가계산의 기본 방식은 먼저 그 제품에 소요된 재료비·전기료·가스료·수도료·외주비 등의 외부 구입가치(재료비·경비)가 얼마나 되는지 계산한다. 다음에 제품을 가공하기 위해 종업원(사무직원과 생산직원)에게 급료나 임금을 얼마나 지급하고 기계나 건물의 가치가 얼마나 소모되었는지 따위의 가공비를 계산한다. 그리고 이 가공비와 외부 구입 가치를 더하여 계산한다
Posted by 윤응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