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장전략
집중적 성장전략
통합적 성장전략
다각화 성장전략
시 장 침 투
후 방 통 합
집중 적 다 각 화
신 시 장 개 척
전 방 통 합
수 평 적 다 각 화
신 제 품 개 발
수 평 통 합
복 합 적 다 각 화
◆ 집중적 성장전략
현재의 제품이나 시장과 관련된 사업 중에서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것으로서, 기업이 기존의 제품 혹은 시장에서 성장기회를 충분히 탐색하지 못한 경우에 이용되는 것이다.
● 시장침투전략
기존시장에서 기존제품으로 시장점유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업이 채택할 수 이쓴 실행방안으로는 현재 자사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에게 더 많이 혹은 자주 사용하도록 유인하며, 경쟁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에게 자사제품을 구매하도록 설득하며, 자사제품이나 경쟁제품을 전혀 이용하지 않고 있는 소비자르 자극하여 자사제품을 구입하도옥 유도하는 것이다.
● 신시장 개척전략
기존제품을 가지고 새로운 시장을 발견하여 개발하는 것이다. 즉 기존제품으로 새로운 세분시장의 잠재고객에이 지닌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거나, 새로운 유통경로를 개발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거나, 지금까지 영업활동을 수행하지 않았던 새로운지역에서 기존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제품을 가지고 새로운 시장을 발견하여 개발하는 것이다. 즉 기존제품으로 새로운 세분시장의 잠재고객에이 지닌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거나, 새로운 유통경로를 개발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거나, 지금까지 영업활동을 수행하지 않았던 새로운지역에서 기존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 신제품 개발전략
기존시장에 새로운 제품을 도입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제품을 뚜렷하게 개량하거나, 전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신제품을 개발하는 것 등을 말한다.
기존시장에 새로운 제품을 도입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제품을 뚜렷하게 개량하거나, 전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신제품을 개발하는 것 등을 말한다.
◆ 통합적 성장전략
기업이 관련기업들을 흡수·통합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원자재의 흐름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통합, 후방통합, 수평통합 드으이 세가지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제조업체를 기준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전방통합
제조업체가 자사제품을 판매하는 유통업체, 즉 도매상이나 소매상을 흡수·통합하여 제품판매 및 마케팅활동의 효율화를 도모하려는 전략이다.
● 후방통합
제조업체가 자사에 원료 및 부품을 공급하는 원자재공급업체를 흡수·통합하여 원자재공급의 안정화 및 효율화를 이룩하려는 전략이다.
제조업체가 자사에 원료 및 부품을 공급하는 원자재공급업체를 흡수·통합하여 원자재공급의 안정화 및 효율화를 이룩하려는 전략이다.
● 수평통합
제조업체가 자사와 동일한 수준의 기업체, 즉 동일한 산업 내의 다른 제조업체를 흡수·통합하려는 것을 말한다.
제조업체가 자사와 동일한 수준의 기업체, 즉 동일한 산업 내의 다른 제조업체를 흡수·통합하려는 것을 말한다.
◆ 다각화 성장전략
기업이 기업활동에서 얻은 지식, 경험 및 기타의 이점을 기존의 사업영역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새로운 분야에 투자하여 새로운 성정기회를 발견하려는 가장 적극적인 형태의 성장전략이다.
● 집중적 다각화
새로운 고객집단에 소구될 수 있는 신제품을 기업이 지닌 기술적 또는 마케팅적 장점을 활용하여 개발하는 것이다.(예)태이프제조기술을 활용하여 컴표터 리본산업 진출
● 수평적 다각화
기존의 제품계열과 기술적으로 아무런 관계가 없지만 현재의 고객집단에 소구할 수 있는 신제품을 개발하여 추가하는 것이다.(예)담배생산업체가 매주 또는 식품산업에 진입하는 경우
기존의 제품계열과 기술적으로 아무런 관계가 없지만 현재의 고객집단에 소구할 수 있는 신제품을 개발하여 추가하는 것이다.(예)담배생산업체가 매주 또는 식품산업에 진입하는 경우
● 복합적 다각화
기존의 기술, 제품 및 시장과 상호관련이 전혀 없는 새로운 분야에 진출하는 경우로서 그 이유로는 자금활용능률의 향상, 수익률의 향상, 위험의 분산, 세금의 감면 또는 효율화, 성장업종에의 참여, 경영자의 취향 등을 들 수 있다.
기존의 기술, 제품 및 시장과 상호관련이 전혀 없는 새로운 분야에 진출하는 경우로서 그 이유로는 자금활용능률의 향상, 수익률의 향상, 위험의 분산, 세금의 감면 또는 효율화, 성장업종에의 참여, 경영자의 취향 등을 들 수 있다.
'마케팅 > 전략적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부수준 전략계획 ▶ 경쟁전략수립 (0) | 2016.11.18 |
---|---|
사업부수준 전략계획 ▶ 전략계획 개요 (0) | 2016.11.18 |
기업수준 전략계획 ▶ GE 도표 (0) | 2016.11.18 |
기업수준 전략계획 ▶ BCG 도표 (0) | 2016.11.18 |
기업수준 전략계획 ▶ 전략사업 단위결정 (0) | 2016.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