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영분석 개념
■ 정의
경영분석이란 재무상태를 해석하는 것이다. 즉 기업의 실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실무상 [경영분석=재무분석=재무제표분석=비율분석]으로 쓰이고 있다
경영분석의 체계는 다음과 같다
◆ 양적분석
비율분석, BEP분석, 레버리지분석
◆ 질적분석
질적분석은 자사분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사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 목적 및 분석주제
◆ 은행
은행입장에서 경영분석을 행하는 목적은 대출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단기자금 대출 : 기업의 단기지급능력 파악
장기자금 대출 : 기업의 수익력 파악(수익성이 있어야 장기적으로 상환할 수 있음)
◆ 경영자
경영자의 입장에서 경영분석을 실시하는 목적은 기업의 실상을 파악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의사결정이라 주로 재무적 측면의 의사결정이지만 기업의 존폐와 연결되는 사항이다.
경영자의 입장에서 경영분석을 실시하는 목적은 기업의 실상을 파악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의사결정이라 주로 재무적 측면의 의사결정이지만 기업의 존폐와 연결되는 사항이다.
◆ 주주 및 투자자
주주입장에서의 경영분석은 주식을 매입할지의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이다. 증권회사에서 발행하는 상장기업분석의 경우도 비율분석의 수치를 제시하고 있다
PER = Price Earning Ratio, PBR = Price to Book Ratio, 매출액증가율, 순이익증가율
ROE = Return on Equity, 부채비율, 유보율, BEP분석, EVA, EBITDA
주주입장에서의 경영분석은 주식을 매입할지의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이다. 증권회사에서 발행하는 상장기업분석의 경우도 비율분석의 수치를 제시하고 있다
PER = Price Earning Ratio, PBR = Price to Book Ratio, 매출액증가율, 순이익증가율
ROE = Return on Equity, 부채비율, 유보율, BEP분석, EVA, EBITDA
■ 경영분석의 발전
경영분석은 1910년경 거의 완성되었으며, 1920년경 BEP분석이 완성되었다. 따라서 비율분석은 이미 80년 저에 기본들이 수립된 것이다. 그러다 1960년대에 지수법이라는 종합평점방식이 개발되었고, 1970년대에 New approch라 하여 시계열분석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시계열분석은 아직까지도 실무에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1980년초에 EVA개념이 정립되었고, 1980년 중반에 VBM이 개발되었다
◆ EVA = Economic Value Added(경제적 부가가치),
◆ VBM = Value Based Management(가치중시경영)
■ 경영분석의 기초자료
경영분석의 기초자료는 회계자료와 비회계자료로 구분된다
◆ 회계자료
재무재표, 대자대조표, 손익계산서
◆ 비회계자료
기본시장자료 : 환율, 이자율, 주가, 실질경제성장률
기업실물자료 : 종업원수, 시장점유율, 생산량
기업질적자료 : 경영자능력, 기술력, 관리력
기본시장자료 : 환율, 이자율, 주가, 실질경제성장률
기업실물자료 : 종업원수, 시장점유율, 생산량
기업질적자료 : 경영자능력, 기술력, 관리력
◆ 회계자료의 문제점
회계상 이익은 경제적 이익과 다르다.
즉,"회계상 이익 + 미실현보유이익 + 영업권 = 경제적이익"이기 때문에 회계상 이익을 가지고는 진정한 부의 증가를 측정할 수 없다.
회계상 이익일지라도 회계처리방법에 따라서 이익규모가 달라진다. 즉, 감가상각의 내용연수에 따라서 또 정률법이나 정액법이냐에 따라서 이익규모가 상이해진다
회계상 이익은 역사적 원가주의를 따르기 때문에 물가변동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경영기획 > 경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익분기점 분석 (0) | 2016.11.16 |
---|---|
비율분석 ▶ 비율분석 요약 (0) | 2016.11.16 |
비율분석 ▶ 관계비율법 02 (0) | 2016.11.15 |
비율분석 ▶ 관계비율법 01 (0) | 2016.11.15 |
비율분석 ▶ 분류 및 방법 (0) | 2016.11.15 |